먹거리 물가 상승률 3년 연속 5%대…정부 '물가관리 TF' 통할까
상태바
먹거리 물가 상승률 3년 연속 5%대…정부 '물가관리 TF' 통할까
  • 김솔아 기자
  • 승인 2023.11.06 17: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비 등 물가 고공행진에 서민 시름 커져
정부, 주요 식품 담당 공무원 지정해 밀착관리
가격 억제에 '풍선효과' 우려도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라면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라면 모습.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김솔아 기자] 최근 먹거리 물가의 오름세가 지속되자 정부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주요 식품의 물가를 품목별로 집중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품목마다 담당자를 지정해 시장 동향을 밀착 감시한다는 목표다. 다만 인위적인 개별 품목의 가격 억제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5.1% 상승했다.

이는 특정 기간을 전년 같은 시기와 비교한 누계비 기준으로 본 것으로 누계비 기준 올해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물가 상승률은 6월까지 5% 이상을 유지하다가 7∼9월 4.9%로 내려왔으나 지난달 다시 올랐다.

연간 기준으로 보면 2019년 0.0%에서 2020년 4.4%로 치솟은 뒤 2021년 5.9%, 지난해 5.9%를 기록했다. 이대로라면 올해까지 3년 연속 5%를 넘기게 된다. 이는 2009∼2011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품목별로 보면 올해 1∼10월 생강이 작년 같은 시기보다 97.0% 상승해 가장 많이 올랐으며 당근(33.8%), 양파(21.5%) 등의 채소류와 드레싱(29.5%), 잼(23.9%), 치즈(23.1%) 등의 가공식품도 20% 넘게 올랐다. 귤(18.3%), 사과(17.2%) 등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식 등 음식서비스 물가도 고공행진 중이다. 올해 1∼10월 음식서비스 물가는 작년 동기보다 6.4% 올랐다. 피자(11.5%), 햄버거(9.6%), 김밥(8.9%), 라면(8.6%) 등이 많이 올랐다.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7.7% 올라 1992년(10.3%)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 달 소비자 물가동향을 보면 아이스크림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 대비 15.2% 뛰었으며 우유는 14.3% 올랐다. 빵은 5.5% 올랐고 과자·빙과류·당류는 10.6%가 올랐다. 커피·차·코코아는 9.9% 상승했다.

먹거리 물가의 오름세는 소득이 낮은 계층에게 더욱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확인된다. 2021년부터 지난 2분기까지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5만 8000원이었다. 이는 같은 기간 월평균 처분가능소득(87만 9000원)의 29.4%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여기에 음식서비스(식사비)로 지출한 금액(13만 1000원)까지 더하면 1분위 가구는 식비로 월평균 39만원(44.4%)을 지출했다. 식비 지출이 처분가능소득의 절반에 달하는 셈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식비 비중은 소득 2분위 25.7%, 3분위 22.4%, 4분위 19.8%, 5분위 14.5%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컸다.

지난 2일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왼쪽 첫번째)이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정부비축 수산물 방출 현장점검 및 수산물 할인행사 진행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2일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왼쪽 첫번째)이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정부비축 수산물 방출 현장점검 및 수산물 할인행사 진행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7개 주요 품목의 담당자를 지정해 물가를 전담 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관리 대상은 라면과 빵, 과자, 커피, 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과 국제가격이 작년보다 35% 오른 설탕, 우유 총 7가지 품목이다.

해양수산부 역시 작년보다 가격이 15%가량 오른 천일염 등 수산물 7종의 물가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물가 안정대응반을 가동하기로 했다.

박성훈 차관을 물가안정책임관으로 하는 물가 안정대응반을 구성해 물가 관리품목인 명태·고등어·오징어·갈치·참조기·마른 멸치 등 대중성 어종 6종과 천일염 등 모두 7종의 물가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가격이 급등하는 품목이 있으면 더 늘어날 수 있다.

물가 안정대응반은 일일 가격 모니터링과 현장점검, 현장 중심 상황 점검 등을 담당하며 해수부는 상황에 따라 필요하면 외부 전문가도 참여시킬 계획이다.

정부의 이러한 물가관리 방식은 지난 2012년 이명박(MB) 정부 시절과 비슷하다는 평가다. 당시 정부는 '물가안정 책임제'를 시행하면서 1급 공무원이 서민 생활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물가 관리를 책임지도록 했다.

당시 농식품부의 먹거리 물가 관리 대상은 쌀, 배추, 고추, 마늘, 양파,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가공식품이었다.

정부는 지난달 중하순부터 식품업계, 외식업계, 마트, 설탕업체 등을 전방위로 만나면서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한 바 있다. 정부의 시장 개입을 통한 인위적 가격 상승 억제가 향후 가격을 더 크게 끌어올리는 풍선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원료비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가격 동결 기조를 계속 이어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