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에도 대출문 걸어잠근 2금융권…서민들 자금줄 마른다
상태바
새해에도 대출문 걸어잠근 2금융권…서민들 자금줄 마른다
  • 권상희 기자
  • 승인 2023.01.06 16: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출중개플랫폼 입점 금융사 10여개 올해도 '점검중'
8개 카드사 연체율 9개월만에 10% 증가…현금서비스 축소 관리 나서
추후 불법사금융 피해 우려…금융당국 가이드 제시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권상희 기자] 토스·카카오페이·핀다 등 대출중개 플랫폼에 입점한 저축은행·캐피털사들의 대출상품 제공 중단이 새해까지 이어지고 있다. 금리인상으로 조달비용이 치솟는 등 유동성이 악화되면서 금융사들이 앱을 통한 상품 제공을 중단한 것이다. 

여기에 카드사들이 대출 한도를 낮추는 등 제2금융권 대출창구가 하나둘 막히면서 서민들의 자금줄이 크게 경색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캐피털·저축은행 포함 2금융권 플랫폼 서비스 중단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해가 바뀌었음에도 여전히 10개가 넘는 금융사들이 대출중개 플랫폼에서 대출 조회 결과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앞서 지난 연말부터 최대 20개가 넘는 금융사들은 대출중개 플랫폼에서 '점검'을 이유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다. 새해가 되면서 일부 금융사들이 플랫폼을 통한 대출을 재개했지만 여전히 점검 중인 금융사가 다수인 상태다. 

이러한 상황은 지난달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다. 현대캐피탈의 경우 지난달 플랫폼 신규대출 영업을 중단했다. 저축은행도 마찬가지로, SBI저축은행은 신용대출을, 웰컴저축은행은 중금리대출을, 신한저축은행은 햇살론을 지난달 중단했다. 

금융사들이 플랫폼 대출을 중단하는 것은 유동성 위기와 관련이 있다. 금리가 대폭 인상되면서 조달비용이 오르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으로 재무 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이날 저축은행과 캐피털사 등과의 면담을 통해 대출 재개 상황, 대출중개플랫폼 수수료 등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사전에 2금융권이 리스크 관리를 위해 여신 심사를 강화하고, 상환 능력이 좋은 차주들에 대해서는 대출 취급을 승인하는 쪽으로 관리를 진행하도록 가이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2금융권 신용리스크 심화…카드사들 현금서비스 축소

카드사와 캐피털사,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신용리스크는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는 부동산 관련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리스크가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5일 설명회를 통해 "단기적으로 충분한 유동성을 적기에 확보하지 못하거나 PF 유동화 증권 및 회사채 상환·차환 관련 리스크가 커지는 건설사 위주로 신용위험이 증가할 것"이라며 "금융업종의 신용등급 전망도 올해는 부정적"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급격한 금리 상승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국내 부동산 PF와 브릿지론 등과 관련한 건전성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저축은행의 대출채권 부실은 본격화되는 추세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전국 저축은행 연체율은 3.0%를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0.4%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액은 3조4344억원으로 2분기 2조9772억원 대비 4000억원 넘게 늘었다.

이에 국내 카드사들 역시 연체율이 높거나 사용률이 낮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현금서비스 한도를 대폭 조정하고 있다. 건전성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이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는 이유에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8개 카드사의 총 연체액계(1개월 이상)는 1조2710억원이었지만 지난 9월 말에는 1조4076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만에 10% 넘게 증가했다. 8개 카드사의 연체액계는 지난해 1분기 말 1조3212억원, 2분기 말 3241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저신용자,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릴 우려도

2금융권이 대출에 빗장을 걸게 되면 돈을 빌릴 곳이 없어진 저신용자들은 대부업체에 이어 제도권 바깥의 불법 사금융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돼 햇살론조차 중단하는 저축은행이 나오는 상황에서, 당장 생계 유지를 위해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와 취약계층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면 다시 정책금융을 통해 구제해야 하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 있다.

그나마 시중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 저신용자들도 상황이 나쁘기는 마찬가지다. 2금융권 아닌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가능했던 저신용자들도 지난해 신용대출이 크게 줄었다. 이날 금융감독원이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저신용자(NICE신용평가 664점 이하) 신용대출은 1192억원으로 2021년 같은 기간(1592억원)보다 25% 줄었다. 

인터넷은행의 저신용자 신규대출도 최근 급격히 줄었다.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3사의 작년 1월 저신용자 신규 신용대출은 117억원이었지만 10월에는 68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최승재 의원은 "코로나19로 가계부채폭탄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 상황에서 저신용자가 뇌관이 되지 않도록 대출을 관리할 필요는 있지만, 당장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게 대출이 절실한 중저신용자 등 취약계층에게는 활로를 열어줘야 한다"며 "추후 불법사금융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행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