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한미 기준금리 역전…국내 금융시장 영향은
상태바
[이슈분석] 한미 기준금리 역전…국내 금융시장 영향은
  • 권상희 기자
  • 승인 2022.07.28 1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 단행
미 정책금리 2.25~2.50% 도달
추경호 "과거 역전 상황에서 외국인 자금 순유입 유지"
한은 내달 금통위서 기준금리 0.25%p 인상 유력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권상희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에 이어 또다시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한미 기준금리가 2년 반 만에 역전됐다. 이에 따라서 이번 금리인상이 국내 경제에도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역시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해 연말 2%대 후반에서 3%대까지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이미 예고됐던 만큼 한은이 이달에 이어 또 다시 연속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미 정책금리 2.25~2.50% 도달…연말까지 금리역전 지속

27일(현지시간) 미 연준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성명을 통해 정책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해 2.25~2.50%로 운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서 미 정책금리는 현 우리나라의 기준금리(연 2.25%)보다 상단 기준으로 0.25%포인트가 높아지게 됐다. 연말까지 꾸준히 금리가 오르면서 이러한 금리역전은 연말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앞서 미 연준은 2020년 3월부터 제로금리를 유지하다 올해 3월(0.25%포인트), 5월(0.5%포인트), 6월(0.75%포인트) 연달아 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이번까지 4회 연속 인상이다. 특히 연준이 두 차례에 걸쳐 금리를 총 1.50%포인트 인상한 것은 1980년 이후 최대 폭이다. 

미 연준이 이렇게 급격하게 금리를 인상한 배경은 물가상승률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달 미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상승했다. 이는 1981년 12월 이후 약 40년 만에 최대 상승한 것이다. 

자료=연합뉴스
자료=연합뉴스

과거 한미 기준금리 역전 시 외국인 자금 유출 일어나지 않아

통상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면 국내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친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국내 주식과 채권 수익률이 낮아져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달러·원 환율이 상승하게 되고,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 물가가 올라 무역수지가 악화된다. 국내 물가 역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당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소비가 위축돼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다만 정부는 이번 한미 금리역전으로 자금이 대거 유출될 가능성은 적다는 입장이다. 한은에 따르면 과거 한미 기준금리 역전 시기인 ▲1996년 6월~2001년 3월 ▲2005년 8월~2007년 9월 ▲2018년 3월~2020년 2월 세 차례 모두 외국인 자본 유출이 일어나지 않았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미 연준의 결정은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며 "(미국 금리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미 정책금리 역전으로 외국인 자금 유출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과거 세 차례 역전 상황에서 국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순유입을 유지한 바 있다"며 "우리 경제 펀더멘털과 글로벌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자본 유출입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한은 금통위 다음달 빅스텝 가능성 낮아…0.25%p 인상 유력

미국이 정책금리를 올리면서 시장의 관심은 앞으로 남은 한은 금통위에 쏠리고 있다. 올해 남은 금통위 일정은 8월과 10월, 11월이다. 

이달 금통위는 높아진 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처음으로 빅스텝을 단행해 금리를 0.5%포인트 올렸다. 만일 금통위가 다음달 25일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다면 미국과 기준금리가 같아지며, 0.5%포인트 인상하면 금리가 다시 역전된다. 

한은의 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은 거세다. 이날 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과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추정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올해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를 3.12%로 추산했다. 한경연이 미국 기준금리 결정모형 추정치와 미 연준 기준금리 규칙에 의한 추정치 최솟값을 가중 평균해 산출한 값이다. 

한경연에 따르면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최소 0.53%포인트 높아야 한다. 미국이 적정 기준금리 수준까지 올릴 경우, 한은도 연말에는 현재의 2.25%에서 1.4%포인트 인상된 3.65%까지 인상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한경연은 인상 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기준금리를 1.4%포인트 올리면 가계대출 금리도 1.65%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액 기준 34조1000억원의 이자를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이는 가구당으로 환산 시 연 292만원이다. 

다만 금융권에선 당장 다음달 금통위에서 빅스텝을 밟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대신 0.25%포인트 인상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금융권 전문가들은 연말 기준금리로 기존 전망치 2.75~3.00%을 바라보고 있다. 한은이 남은 3차례 금통위에서 0.25%포인트씩 금리를 인상하면 최대 3.00%까지 금리가 오른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지난 13일 금통위 직후 "당분간 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