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 사흘째...車업계 "파업중단" vs 화물연대 "운송료 인상"
상태바
총파업 사흘째...車업계 "파업중단" vs 화물연대 "운송료 인상"
  • 박대웅 기자
  • 승인 2022.06.09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물연대 파업 사흘째, 車 업계 생산·탁송 차질
화물연대 "유가 부담 전가 그만…운송료 인상하라"
화물연대의 파업이 사흘째로 접어들면서 완성차 업계의 생산 및 탁송 차질 등이 현실화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 총파업이 사흘째로 접어들면서 물류 차질 및 생산 차질이 가시화되고 있다.

실제 완성차 업계에선 생산라인 가동이 멈추는 등 피해가 구체화 되고 있다. 아울러 자동차 부품업계 또한 "생존권을 위협 받고 있다고 즉각적인 파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반면 화물연대는 치솟는 물가와 고유가로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다며 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車 업계 생산 차질 현실화 "파업중단" 호소

9일 자동차 업계의 말을 종합하면 현대자동차 울산 공장은 화물연대가 전날부터 자동차 부품 납품 운송을 거부하면서 일부 생산 라인이 가동과 중단을 반복하고 있다. 화물연대 조합원은 전날 오후 2시부터 울산공장 납품 거부에 들어갔고, 같은 날 오후 4시부터 생산라인 가동에 차질이 빚어졌다. '적시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완성차 업계 특성을 고려할 때 부품 조달이 즉시 이뤄지지 않으면 가동 중단에 들어갈 수 밖에 없다.

자동차 제조 관련 11개 단체는 즉각적인 파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 단체는 8일 입장문을 내고 "조립산업 특성으로 한 가지 부품이라도 무류가 원활하지 않으면 전체 자동차 산업 가동이 중단될 수 밖에 없다는 약점을 악용한 것에 분노를 표할 수 밖에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내놨다. 

조립에 이어 완성차 운송도 차질을 빚고 있다. 기아는 광주와 광명 공장 등에서 차량을 실어 나르는 카캐리어 운행이 중단되면서 공장 직원이 임시운행허가증을 발급 받아 운전해 적치장으로 옮기고 있다. 기아와 계약한 카캐리어 200여대 중 98%가 화물연대 소속인 것으로 전해진다.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도 파업 중단 목소리를 낸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9일 호소문을 통해 "반도체 공급 차질로 고객들은 자동차 계약 후 수개월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화물연대 파업으로 생산 차질이 지속된다면 신차 출고를 고대하는 고객들은 더욱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면서 "화물연대의 자동차 물류 방해 행위는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들은 "절박한 생존의 상황에 내몰린 부품업계 종사자들을 위해서라도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운송 중단을 화물연대는 즉각 철회하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7일 총파업을 시작한 화물연대는 파업의 정당성을 거듭 주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화물연대 "파업 정당"

화물연대는 파업의 정당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지난 7일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폐지 불가 및 안전운임제의 전 차종·품목 확대와 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전쟁 장기화 여파로 지난달 경유가 사상 첫 2000원을 돌파하는 등 치솟는 기름값 부담을 고스란히 노동자가 떠안고 있다고 호소한다. 화물연대는 "노동자들은 기름값으로 매달 수백만원을 더 지출하고 있다"면서 "일할 수록 손해다. 남는 건 빚 뿐"이라고 말한다. 

화물연대는 정부가 유가 대책으로 유류세를 인하했지만 화물 노동자들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이 유류세와 연동돼 그만큼 보조금이 깎였다고 설명한다. 정부가 최근 화물 노동자에게 별도의 유가연동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화물연대는 "고작 30만~40만원 수준으로 월 200만~300만원 씩 소득이 줄어들고 있는데 이를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힘주어 말한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확대와 운송료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유가 변동을 반영해 화물 노동자에게 최소한의 임금 수준을 보장하는 일종의 최저임금이다. 2018년 컨테이너·시멘트 부문에 제한적으로 도입됐는데 3년 일몰제 시행으로 올해 말 종료된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적용 후 화물 노동자의 소득은 소폭이나마 증가했으며 그로 인해 과적·과로 압력이 줄고 주말에 쉴 수도 있게 됐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다수 노동자들은 안전운임제를 적용받지 못하고 있다. 현재 안전운임제 적용 대상은 전체 화물 노동자의 6.5%에 그친다는 게 화물연대의 설명이다. 안전운임제 폐지가 아닌 확대를 주장하는 것도 이런 배경이다.

유가 인상에 따른 운송료 인상도 화물연대의 주요한 요구 사항이다. 

화물연대는 "오랫동안 낮은 운임에 장시간 노동으로 목숨을 걸고 위험한 곡예를 벌이며 일해 왔지만 이번 위기에도 위기의 대가는 노동자에게 전가되고 있다"면서 "유가가 떨어질 땐 운송료와 보조금을 깎더니 유가가 치솟으니 경제 사정을 봐서 또 참으라고 한다"고 분통을 터뜨린다. 

화물연대는 대체수송 저지와 관련해 "정당하다"고 맞서고 있다. 정부는 파업으로 인한 물류 차질을 막기 위해 대체수송을 하겠다고 밝혔다. 군 차량과 정부 차량 등을 동원해 긴급 수송을 하겠다는 것으로 기업도 대체수송을 시도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대체수송을 저지하는 것은 파업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정당한 투쟁 방식"이라면서 "국제 노동운동에서 '피켓라인'이라고 일컬어지는 역사가 깊은 전술"이라고 말했다. 실제 화물연대는 2003년 부산의 주요 부두와 의왕 기지 등을 봉쇄해 20만 대의 화물차 운행을 막는 단호한 조치로 정부의 양보를 얻어 낸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