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파업' 장기화 조짐에…파바 가맹점주 속만 타들어간다
상태바
'빵파업' 장기화 조짐에…파바 가맹점주 속만 타들어간다
  • 김리현 기자
  • 승인 2021.10.07 1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20일 민노총 차원 총파업 예고
화물연대 운송거부, 장기화 조짐 보여
사측 "계약 위반...명분없는 파업 용납 안돼"

SPC도 피해액만 최소 70억~80억 추산
가맹점주 “빵 없는 곳이란 이미지 생겨”
던킨 위생 논란까지 더해져 설상가상
SPC 파리바게뜨와 민주노총 화물연대와의 갈등으로 가맹점주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김리현 기자] 파리바게뜨 매장에서 빵이 안 보인지도 한 달을 넘어가고 있다. 지난달 3일 민주노총 화물연대 광주본부 2지부 파리바게뜨지회에서 파업이 시작되면서다. 이미 파업은 지난달 15일부터 전국 단위 사업장으로 확산한 상태로, 민주노총 화물연대 측은 빵과 재료 등에 대한 운송을 거부하고 있다.  

와중에 오는 20일 민노총 차원의 총파업이 예정돼 있는 등 운송거부는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장기화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발생한 던킨도너츠 공장의 위생 논란도 민노총 지회장의 조작 영상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측과 민노총의 갈등이 심해질수록 사이에 낀 가맹점주들의 피해만 눈덩이처럼 확산되고 있다.

파업만 한 달 넘어가…시작은 ‘이권 다툼’ 끝은 ‘노조탄압’

이번 화물연대 파업의 시작은 민노총과 한노총의 이권다툼이었다. SPC의 물류 자회사 SPC GFS가 올해 6월 화물차 기사들의 요청으로 호남지역 배송 차량을 2대 늘렸다. 이후 민노총 소속 기사들과 한국노총 소속 기사들이 조정한 배송 코스를 두고 서로 운행 거리가 짧은 코스를 차지하기 위해 갈등을 빚었다. 민노총은 자신들의 요구를 수용해 달라며 지난달 3일 파업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민노총은 원청인 SPC 본사가 나서서 노선 조정을 해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SPC는 관여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본사가 협력사의 업무에 개입하는 것은 하도급법 위반이기 때문이다. 

기사들과 계약을 맺은 주체는 SPC가 아니다. SPC는 SPC GFC에 물류 위탁을 맡겨, SPC GFS가 각 지역에서 운수사와 계약을 맺고 운송한다. 운수사들은 또 기사들과 차량 위수탁계약을 체결한다. 즉, 배송 기사들은 SPC와 계약한 것이 아닐뿐더러 GFS와도 고용계약을 한 것이 아니다. 

SPC 관계자는 “기사들이 요구사항이 있다면 운수사가 SPC GFS와의 계약 때 해당 내용을 넣어 SPC와 협의를 하면 되는 것”이라며 “운수사의 역할을 원청사인 SPC그룹에서 관여하는 것 자체가 하도급법 위반”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 화물연대 물류파업 일지. 

운송 거부 움직임이 장기화되자, SPC그룹은 지난달 14일 광주지역 운수업체 11곳과의 계약을 해지했다. 계약이 해지된 운수사는 기사들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했고 손해배상금액을 청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물연대 측은 ‘파업으로 인한 피해 배상 등 책임을 묻지 않으면 파업을 종료하겠다’고 제안했지만, SPC측이 거절하면서 파업이 전국단위로 확대됐다. 

SPC 측은 이번 파업으로 인해 피해를 본 가맹점주와 소비자를 위해서라도 끝까지 가겠다는 입장이다.

SPC 관계자는 “노조 간 갈등과 이권다툼에서 비롯된 문제를 회사와 가맹점들의 영업과 생존권을 위협해 해결하려는 화물연대의 명분 없는 파업은 절대 용납될 수 없고, 이는 화물운송 용역계약 위반에 해당한다”며 “파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 철저히 손해 배상을 청구하는 등 강력히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SPC가 광주지역 운수업체와 계약을 해지한 다음 새벽인 지난 달 15일 연대농성에 돌입하면서 ‘노조 탄압’, ‘노동조건 개선’으로 파업 명분을 바꾸었다. 그 전에는 ‘증차에 따른 전 노선 재조정’ 피켓이었다. 

지난 6일 오전 서울 서초구 SPC그룹 본사 앞에서 열린 전국 유통 화물노동자 화물연대 SPC 파업 지지 선언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SPC와 갈등을 빚고 있는 운송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6일 오전 서울 서초구 SPC그룹 본사 앞에서 열린 전국 유통 화물노동자 화물연대 SPC 파업 지지 선언 기자회견 모습. 사진=연합뉴스

SPC 피해액만 80억 원…가맹점주 “애초 방문을 안 해”

화물연대 측의 파업 규모가 커지고 강도도 세지며 SPC의 피해액도 급격히 불었다. 화물연대 측은 지난달 27일과 지난 4일 SPC삼립 청주공장에 1000여명이 모여 불법 점거 농성 집회를 하는 등 생산공장의 물류 출하를 막기도 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대체할 지입차 대차 비용, 대체 기사 투입비용 등에만 70억~80억 원은 투입됐다는 게 SPC 측의 설명이다. 파업으로 빵을 제때 공급받지 못한 데서 발생한 3400여개 파리바게뜨 가맹점주들의 피해액은 제외한 금액이다.

가맹점으로 와야 할 제과·제빵, 휴면반죽, 밀가루 등이 막히자 가맹점주들은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광주에서 파리바게뜨 매장을 운영하는 한 가맹점주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생을 마감하신 호프집 사장님이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신 여수 치킨집 사장님의 소식이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다”며 글을 올렸다.

수도권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서울시 마포구에서 파리바게뜨를 운영하고 있는 한 점주는 “케이크 같은 경우도 가장 기본인 생크림 케이크만 겨우 받아볼 수 있고, 다양한 종류는 못 본지 오래됐다”며 “일부 지역에서는 점주들이 직접 빵이나 재료들을 가지고 온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상황이 장기화되면 저도 그런 고민을 안 할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더 불편한 점은 파업이 계속되면서 고객들이 ‘파리바게뜨에는 이미 빵이 예전에 비해 많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애초에 방문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라며 “손님들이 예전보다 많이 줄었다”고 하소연했다. 

던킨 위생 논란까지 더해져 ‘엎친 데 덮친 격’

더군다나 최근 던킨 공장 위생 문제가 SPC측과 민노총과의 갈등으로 번져가면서 600여 던킨 가맹점도 매출 급감 위기에 놓였다. 지난달 29일 던킨 안양공장 직원이 도넛 반죽 위에 떨어진 기름때 등 비위생적인 모습을 촬영해 공개했다.  

던킨을 운영하는 SPC그룹 산하 비알코리아는 제보 영상이 조작됐다고 주장하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고, 제보자 측은 추가 폭로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제보자는 민노총 던킨 지부장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던킨 공장의 위생불량 논란은 제품을 대부분 납품 받아 판매하는 가맹점에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다. 던킨 매장은 대부분 가맹점이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712개 던킨 매장 중 가맹점(579개)이 차지하는 비중은 81%에 달한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품을 다루는 업체에서는 가장 중요한 문제가 위생이라 한 번만 문제가 발생해도 관련 매출이 급감한다”며 “전반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아 보여 노사간 원만한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