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네이버 "'댓글 개편 정책' 이후 '악플' 줄었다"
상태바
카카오·네이버 "'댓글 개편 정책' 이후 '악플' 줄었다"
  • 김상혁 기자
  • 승인 2020.06.18 17:00
  • 댓글 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카오, '욕설 음표 치환'으로 악플 20% 감소
'악플러 차단' 기능 반응 좋아
네이버는 전체 댓글 수·댓글 작성자 수 감소
댓글 당 글자 수는 늘어, "진화한다는 신호"
카카오가 지난 2월부터 시행한 '댓글 개편 정책'으로 악성 댓글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카카오 제공

[오피니언뉴스=김상혁 기자] 카카오와 네이버가 올해 초부터 시행한 '댓글 개편 정책'이 악성 댓글을 줄이는데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는 지난 2월 카카오톡 #탭의 뉴스 댓글 서비스 및 운영 정책을 개편했다. AI를 통해 모든 댓글의 욕설 및 비속어를 필터링하는 ‘욕설 음표 치환' 기능, 욕설·비속어 뿐 아니라 '차별·혐오'에 대한 신고 항목 신설, ‘신고 알림’ 기능입, 보고 싶지 않은 댓글 혹은 댓글 작성자를 차단하는 '덮어두기' 기능 등을 도입했다.

카카오에 따르면 개편 이후 3월 한 달간 댓글 신고 건수는 개편 이전 대비 약 2배 증가했다. 또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난 5월에도 개편 이전에 비해 14% 늘어났다. 이처럼 신고 건수가 증가하며 악성 댓글 삭제 건수도 개편 이전 대비 3월에는 65%, 5월에는 7% 늘었다. '욕설 음표 치환 기능'을 통해 욕설 및 비속어를 포함한 댓글이 20% 이상 감소하는 효과도 있었다.

이는 욕설·비속어가 포함돼 있지 않더라도 불쾌감을 주는 댓글이 이용자들의 자발적 참여와 선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조치됨으로써 댓글 환경이 청정해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카카오는 설명했다.

신설된 기능 중에서는 '덮어두기'를 가장 많이 이용했다. 그 중에서도 '이 사용자의 댓글 활동 숨기기' 기능은 설정한 이용자의 91%가 해제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카카오는 악성 댓글 작성자에 대한 댓글 제재, 영구 제한 등의 방법도 강구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정확한 숫자를 밝힐 수는 없지만 댓글 정책 시행 후 제재 받는 이용자들도 늘긴 했다"며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악성 댓글 신고 및 조치 건수도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지난 3월 네이버의 '댓글 이력 공개' 시행 후 댓글 작성자의 활동 목록을 살펴볼 수 있게 됐다. 사진=네이버 댓글 캡쳐
지난 3월 네이버의 '댓글 이력 공개' 시행 후 댓글 작성자의 활동 목록을 살펴볼 수 있게 됐다. 사진=네이버 댓글 캡쳐

네이버 역시 지난 3월 시행한 '댓글 활동 이력 공개' 이후 눈에 띄는 변화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댓글 작성자의 과거 댓글과 댓글 수, 삭제 비율, 공감수, 닉네임, 프로필 등을 전체 공개하는 정책이다.

최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발표한 네이버 뉴스 댓글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댓글 개편 이전 1주일(3월1일~7일)에 비해 개편 이후 1주일(3월19일~25일)간 달린 댓글 수가 크게 줄었다.

이전 1주일 동안 댓글 수는 590만4064개였으나 이후 1주일 간 347만2824개로 41.2% 감소했다. 본인이 직접 삭제한 댓글은 68만7532개에 34만6571개로 절반 가량 줄었다. 규정 미준수로 네이버가 삭제한 댓글은 1만8295개에서 7562개로 58.6% 감소했다.

댓글 작성자 수도 줄었다. 개편 이전에는 188만6720명이었으며, 1인당 평균 3.13개의 댓글을 달았다. 개편 이후 136만1950명으로 줄고, 1인당 평균 댓글 수는 2.55개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뉴스 댓글 이력제를 도입하고 닉네임을 공개하자 댓글 다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껴 댓글의 수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본인 삭제 댓글의 경우 정책 시행 이전에는 11% 후반대에 머물렀지만 이후에는 9%대로 떨어진 후 지난 17일현재 비슷한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또 네이버 삭제 댓글 비율도 같은 기준으로 0.4%에서 0.2%로 적은 숫자지만 줄어들긴 했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삭제하는 것은 물론 작성자 본인이 삭제하는 경우 대부분이 흔히 말하는 '악플'"이라며 "전체 숫자나 비율이 줄어든 것을 보면 '악플'도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눈에 띄는 항목도 있다. 댓글 수는 줄었으나 한 댓글 당 글자 수는 평균 50.7자에서 58.7자로 10% 이상 늘었다. 연구팀은 "이는 댓글 공간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는 여전히 일부 기사의 댓글은 소수가 집중적으로 작성해 마치 전체를 대변한다는 착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경고했다.

오세욱 한국언론진행재단 선임연구원은 "추후 공론장으로서 댓글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댓글 작성자가 1주일 간 어느 정도의 댓글을 달았고, 전체 이용자 중 상위 몇%인지 알려주는 방식 등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점 해결을 위해 댓글을 폐쇄하거나 차단하는 것은 완전한 해법이 아니"라며 "댓글 정책을 꾸준히 개선해나가고 이용자, 학계, 사업자 등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열린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Wndms 2020-07-03 17:22:08
요즘 악플이 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런 생각 되게 좋은 것 같아요 이런 적용이 다른 사이트에서도 하루빨리 적용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yeri 2020-06-29 16:07:00
이런 기사를 보면 사회의 큰 문제였던 악플이 많이 개선될 거 같아서 기분 좋아요. 악플은 분명 타인의 마음에 상처를 남기고 지나칠 경우 타인의 목숨을 빼앗을 수도 있는 사회적 범죄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국가와 기업, 사회구성원들이 함께 힘을 모아서 악플을 없애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런 기사 너무 좋아요.

강유림 2020-06-24 14:39:09
댓글이 없어진 다음엔 기사를 봐도 별로 불편하지도 않고 좀더 보기가 매우 좋아졌고 누군가가 상처를받을 일이 줄어서 다행이고 좀더 좋게 볼 수있을 것 같아요.

Kimse 2020-06-23 15:26:59
댓글을 폐지한 덕분에 악플도 많이 줄어서 좋고 또 조금 더 깨끗한 기사를 볼 수 있어서 좋은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