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증시] 코로나19 불확실성 여전…반등을 위한 조건은
상태바
[이번주 증시] 코로나19 불확실성 여전…반등을 위한 조건은
  • 김솔이 기자
  • 승인 2020.03.22 0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확산세 완화돼야
치료제 개발 기다리는 시장
美 연준, 정책 대응 의지 필요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김솔이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글로벌 증시가 ‘대응의 영역’으로 들어섰다. 증시 향방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이다. 코로나19가 퍼지고 있는 만큼 시장의 글로벌 경기 침체와 신용 위기 공포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탓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완화되고 경제적 파장이 구체화되기 전까지 증시가 반등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일 코스피는 전주 대비 11.6% 내린 1566.15에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한‧미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 체결 소식에 전 거래일보다 7.4% 급등했으나 그간의 폭락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NH투자증권은 이번주 코스피 예상밴드를 1400~1640로 제시했다. 하나금융투자는 같은 기간 코스피가 1450~1550에서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다.

◆ 미국 확진자 수 2만명 육박…투자자 공포심 여전

코로나19가 여전히 번지고 있어 당분간 글로벌증시 변동성이 줄어들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예상할 수 없는 투자자들로서는 공포심에 휩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글로벌증시 가운데서도 대외 경제 상황에 민감한 신흥국증시에선 외국인의 ‘팔자’ 행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이미 25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아메리카‧유럽 국가들의 확산세가 여전히 거세다. 미국 확진자 수는 지난 21일 오전 11시 기준 1만9469명에 달했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의 확진자 수는 각각 4만7021명, 1만9848명, 1만2612명이었다.

이같은 코로나19 확산세 속에 글로벌 금융시장에선 모든 금융자산을 달러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진 점도 증시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통상 글로벌증시가 흔들리면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채권, 금 등을 확보하려 한다. 그러나 현재는 코로나19 사태 불확실성으로 인한 공포심 속에 안전자산까지 투매하는 셈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추지 않는 한 글로벌증시가 안정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투자심리 불안을 달래려면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백신 임상실험 통과 등이 이뤄져야 한다”며 “길리어드를 비롯한 주요 제약사들의 백신 임상실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 시장 불안감 잠재울 공격적 정책 필요

더불어 시장의 공포심을 잠재우려면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공조 효과가 가시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비슷한 수준의 유동성 공급 정책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지만 금융시장의 반응은 미지근하다. 여전히 정책 강도가 시장의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에너지기업들의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급등하고 있다. 그 외 기들의 증가세도 뚜렷해졌다. 연준이 기업어음(CP)‧회사채 매입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지만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신용위기의 핵심이 기업부채와 회사채,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 등인 점을 고려하면 연준 대책이 의회 문턱을 넘어야한다.

자료=메리츠종금증권
자료=메리츠종금증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사례를 고려하면 부실자산구제계획(TARP)에 맞먹는 정책도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당시 미국은 단기유동성 공급을 거쳐 신용시장 지원, 부실자산 정리 등의 순으로 대응했다. 시장은 부실자산 정책 효과나 나온 이후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현재도 비슷한 흐름으로 정책이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부실자산 관련 정책은 구체화하지 않았다. 시장에 정책 대응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선제적이고 공격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결과적으로 TARP까지 정책면서 자금 시장이 안정화됐고 유동성 쏠림 현상이 완화되면서 주가의 저점을 확인했다”며 “현재 연준은 신용시장 지원 단계에 와 있는데 현재 시장은 부실 자산에 대한 정책을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매도보단 보유…주가 바닥 지날 듯”

다만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선 섣불리 매도에 나서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반등을 기다리라는 조언이 나온다. 코스피가 ‘바닥’을 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경우 투자자들이 매도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크지 않을 수 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 신흥시장지수 12개월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까지 하락하면 코스피는 1350선까지 내려갈 것”이라며 “백약이 무효한 상황에서 최저점(rockbottom)”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는 20일 미국의 선물‧옵션만기일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의 시스템‧알고리즘 트레이딩 변동성이 소강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기대와 주요국 정책 대응 등을 고려하면 버티는 것이 최선의 전략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코스피가 급락, 영업이익 전망치와 괴리가 커졌다는 지적이다. 현재 올해 상장사 영업이익 전망치는 160조8000억원 수준이다. 이와 달리 현재 코스피 수준은 올해 상장사 영업이익 60조원~80조원으로 반영하고 있다. 즉 전망치 ‘반토막’에 불과한데 이같은 일이 현실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지만 미국 뉴욕증시 급락, 경기 부양책 실효성에 대한 의문 등으로 국내증시가 과대 반응을 시작하고 있다”며 “코스피가 1500 이하는 상장사 순이익이 60조원 미만일 때의 지수 영역”이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