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어"

[오피니언뉴스=한동수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9일 새벽(한국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에 대해 “이미 시장에서 충분히 예상했던 것과 같은 결과”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국은행 본관 현관 앞에 대기하고 있던 기자들을 만나 새벽에 있었던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이 “크게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미 연준은 이날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2.00∼2.25%에서 1.75∼2.00%로 0.25%포인트 내렸다. 이 총재는 이어 “이번 연준의 금리인하 조치는 앞으로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입장을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한은도 향후 통화정책에 있어 연준의 이 같은 저금리 기조를 감안해 나 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준의 이번 인하는 미국 이외의 국가들 입장에선 통화정책의 부담을 더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는 평가를 내놓은 후 “연준이 경기확장세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한다는 입장을 나타내 추가 인하 여지를 닫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미 연준이 지표상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기업대출, 기업부채에 대해 우려할 사안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짐작한다”고 말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준금리 인하 결정 발표 후 “만약 경제가 하강하면, 더욱더 폭넓은 연속적인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이라면서도 “경기하강은 우리가 보고 있다거나 예상하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은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고려하고 있는 주요 변수는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외 리스크가 어떻게 전개될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보겠다”며 “미중 무역분쟁에 더해 지정학적 리스크가 곳곳에서 높아졌다”고 답했다. 이어 “중동 사태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유가는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며 “최근 발병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문제는 아직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당장 고려할 사안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오피니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