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 본사 해외이전 늘어···"국제사회 제재 이유"
상태바
중국 기업, 본사 해외이전 늘어···"국제사회 제재 이유"
  • 이상석 기자
  • 승인 2023.06.16 08:29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간판 달고 경영 힘들어
미국과 중국 관계가 점점 더 불안정해 지면서 중국 브랜드 가운데 일부는 모국으로부터 거리를 두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사진=뉴욕타임스

[오피니언뉴스=이상석 기자] 중국 기업이 국제사회의 각종 제재 등을 이유로 본사를 외국으로 옮기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해외 시장을 염두에 두고 본사 이전 결정을 내린 중국 기업들이 적지 않다고 뉴욕타임스(NYT)는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장 대표적인 업체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패스트패션 업계의 정상에 오른 중국의 패션기업 쉬인이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쉬인은 최근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하고 중국 난징의 기업 등록을 말소했다.

또한 아일랜드와 미국 인디애나주에 지사를 설립하고 워싱턴DC에 로비대행업체와도 계약했다.

쉬인은 최근 성명을 통해 "우리는 세계 150개 시장의 소비자들을 상대로 영업하는 다국적 기업"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는 올해 안으로 예상되는 미국에서의 기업공개(IPO)에 대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된다.

쉬인은 저렴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 업체를 압도할 수 있었던 것은 중국 내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값싼 섬유를 사용해 상품을 생산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이 같은 의혹은 1000억 달러(약 130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이는 초대형 IPO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만큼 중국색을 최대한 빼겠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의 해외 쇼핑 앱 '테무'는 본사를 보스턴에 설립했다.

지난해 9월 미국에 데뷔한 '테무'는 다양한 저가 상품을 앞세워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 초에는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에도 진출했다.

테무의 모기업인 핀둬둬도 본사를 중국에서 아일랜드로 옮기면서 중국색을 뺐다.

이와 함께 전 세계 태양광 패널의 10%를 생산하는 중국업체 징코솔라는 최근 생산시설을 중국 바깥으로 이전했다.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대한 미국의 수출규제를 우회하기 위한 조치다.

미국은 2012년부터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고, 신장 위구르 지역의 강제노동으로 생산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중국 업체의 태양광 패널 통관을 막기도 했다.

본사를 이전하면서까지 중국색을 빼겠다는 중국 기업들의 노림수가 어느 정도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쉬인이나 테무는 본사를 이전했다고 하더라도 중국산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파는 한 중국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정치권에서 신장 위구르 지역의 강제노동 문제에 대한 대응을 주도하고 있는 마코 루비오 연방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최근 성명을 통해 "쉬인이 아무리 숨기려고 하더라도 속을 사람은 없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쪼그라드는대중무역비중 2023-06-23 20:17:49
( 단위=%)
25.3 22.8 19.5
14.9 16.1 17.8
8.8 8.9 8.3
4.7 4.5 4.7

매출감소 주요반도체 소부장업체 2023-06-23 20:15:42
( 단위=원)
구분 2022년1분기 2023년1분기주력품목
엘엑스세미콘 5851억 5215억 디스플레이반도체
심택 4177억 2040억 반도체용 인쇄회로기관
대덕전자 3054억 2177억 반도체용 인쇄회로기
솔브레인 2816억 2430억 반도체용식각액
원익 S 2087억 1504억 반도체디스플레이장비
*자료=금융감독원전자공시시스템
*총 주요 국가수출액기준 자료=한국무역협회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