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반도체 對中 수출 비중 20년새 13배 늘었다” 
상태바
대한상의, "반도체 對中 수출 비중 20년새 13배 늘었다” 
  • 최인철 기자
  • 승인 2022.08.21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0년 3.2% →2021년 39.7% 급증
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업이 2000년 목재, 가죽‧신발, 석유화학에서 2021년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로 급변했다.
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업이 2000년 목재, 가죽‧신발, 석유화학에서 2021년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로 급변했다.

[오피니언뉴스=최인철 기자]지난해 중국 수출의존도가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이며 최근 20년간 중국 수출의존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반도체’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21일 발표한 ‘산업별 대중(對中)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중국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순으로 집계됐다.   

2000년 수출 비중이 높았던 ‘목재’(42.3%), ‘가죽·신발’(38.8%), ‘석유화학’(33.4%), ‘기타 전자부품’(27.2%) 등과는 확연히 달라진 순위다. 대한상의는 “소비재의 중국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크게 늘어난 양상”이라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결과”라고 분석했다. 

최근 20년 동안 중국 수출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다. 2000년 반도체산업의 중국 수출 비중은 3.2%였지만 2021년에는 39.7%로 36.5%p, 약 13배가량 증가했다.  

다음으로 ‘정밀기기’(7.5%→42.5%, 35%p↑), ‘디스플레이’(2%→35.2%, 33.2%p↑), ‘세라믹’(5.6%→32.3%, 26.7%p↑), ‘통신기기’(1.5%→27.9%, 26.4%p↑) 순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교 이래 중국 교역은 빠르게 급증하며 한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수교 후 8년 뒤인 2000년 한국의 중국 수출 규모는 185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10.7%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1629억 달러로 9배 가까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했다. 같은기간 한국의 수출 규모가 3.7배 증가한 것(1723억 달러→ 6444억 달러)을 고려하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한 셈이다. 중국은 2003년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었던 미국을 앞지른 이후 지금껏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중국 수입규모는 2000년 128억 달러로 8% 수준이었으나 2021년에는 22.5% 수준인 1386억 달러로 증가해 10배 이상 커졌다. 같은기간 한국 수입 규모는 1605억 달러에서 6151억 달러로 3.8배 증가했다.

중국 직접투자의 양상도 변화했다. 2000년 중국 직접투자는 8억 달러 수준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67억 달러로 크게 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누계액은 약 816억 달러에 달한다. 2000년 대중 직접투자의 절반 이상은 ’수출 촉진(51%)’이 목적이었다. 제3국 진출을 위한 일종의 발판 삼기용 투자였다. 2021년에는 ’현지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이뤄진 투자가 67%로 가장 많아지면서 한국 기업들이 중국을 보는 시각이 생산입지에서 수요시장으로 전환됐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경제는 비약적 발전을 이뤄 왔다”며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중국의 기술추격, 미중 패권경쟁 심화 등을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