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수소기술특허 세계 5위지만 중국의 5분의1 수준"
상태바
전경련, "수소기술특허 세계 5위지만 중국의 5분의1 수준"
  • 최인철 기자
  • 승인 2021.12.12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소거래소, 핵심전략기술 지정, 수소제품 수요촉진 제안
전경련은 수소기술의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은 수소기술의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표=전경련

[오피니언뉴스=최인철 기자]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수소경제 생태계 현황과 정책방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수소생태계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전경련은 2019년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로드맵 이행상황이 지지부진하다고 지적했다.

로드맵이 예정한 2022년 수소승용차 보급대수 목표는 누적 6만5000대지만 올해 11월 기준 27% 수준인 1만7000여대에 불과한 실정이다.

핵심 인프라인 수소충전소 보급 일정도 목표 대비 38% 수준이다. 내년에 전국 충전소 310개 소가 운영돼야 하지만 올해 11월 기준 117개 소가 운영되고 있다.

내년 목표 수소가격은 kg 당 6000원이지만 현재는 로드맵 발표시점과 큰 차이가 없는 8400원대다. 

수소산업 핵심부품・소재도 대부분 미국, 일본 등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전경련은 핵심부품의 국산화율 제고와 원천기술 확보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수소차의 경우 핵심소재인 탄소섬유는 도레이(일본), 백금촉매는 교세라(일본)가 대부분 공급하고 멤브레인막은 듀폰(미국)’, 고어(미국), 3M(미국) 등이 공급한다.

수소기술 특허 수에서는 주요 6개국(중, 미, EU, 일, 한, 독)의 특허 수는 2014년 이후 연평균 13.9%로 증가추세다. 수소생산・연료전지 분야 특허 수(2014~2020 누적)에서 한국은 세계 5위 수준이다. 사실상 이 6개국(EU 포함)이 세계 수소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실제 경쟁국 가운데 하위권에 속한다. 누적순위는 중국, 미국, EU, 일본 순이다.

연도별 특허 수를 살펴보면 2017년부터 중국이 미국을 추월해 1위로 올라선 이후 격차를 벌리고 있다. 2020년에 등록된 특허 수에서는 한국이 1033건으로 일본(974건)을 추월해 4위로 올라섰지만 중국(4721건)에 비해 약 21.9% 수준이다. 중국 정부의 2019년 수소기술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6배 급증했다.

전경련은 차기 정부에 국내 수소 인프라 확충·정부 지원 확대 등 수소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전경련은 “수소경제는 탄소중립 달성의 중요한 전략적 기둥”이라며 “차기정부도 수소경제 활성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선정할 것”을 제안했다.

수소거래소 설립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청정수소는 100% 국내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부족분을 수입(우리가 해외에서 생산한 수소 유입 포함)할 수밖에 없다. 안정적 수소 수입·유통, 거래, 분쟁조정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 기능을 담당할 수소거래소를 설립해 각종 표준 정립에 나설 경우 글로벌 표준 경쟁에서도 앞서나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수소경제 선도국인 일본·독일이나 미국 등 기술 선진국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하자는 주장도 제기했다. 현재는 호주, 사우디, 뉴질랜드, 러시아, 아랍에미리트, 이스라엘, 노르웨이 등과 수소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다.

전경련은 "수소 생태계 전반적으로 리스크가 크고 성공확률이 높지 않아 기업 입장에선 수소산업 진입 자체가 모험투자에 해당한다"며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수소기술(전반)을 시설투자·연구개발비용 세액공제 폭이 큰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지원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수소활용 분야도약을 위해 수소차 구매 보조금을 전액 국비로 지원하는 등 특단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