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뉴스=최인철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가 단계적으로 해제된 지난해 대도시권의 연평균 일일 광역 통행량은 1011만회로 2021년(945만회)에 비해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2022년 대도시권 광역교통조사'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을 포함한 대도시권의 시도를 넘나드는 자가용 및 대중교통 통행량이다.
코로나로 위축됐던 대중교통 통행량이 자가용 통행량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연평균 일일 대중교통 통행량은 259만회로 2021년 233만회 대비 11.1% 증가했다.
자가용·대중교통 통행량 증가율을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전년 대비 8.5% 증가해 다른 권역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이어 대구권 5.9%, 부산·울산권 5.6%, 광주권 5.2%, 대전권 4.4%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통행량은 늘었지만, 출퇴근에 드는 시간은 2020년에 비해 줄었다.지난해 대도시권 광역 출퇴근에 소요된 연평균 일일 통행시간은 약 116분(출근 56.5분·퇴근 59.4분)으로 2020년(약 119분)보다 3분 단축됐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광역 출퇴근 시간이 하루 약 120분(출근 58.8분·퇴근 61.1분)으로 가장 길었으며 부산·울산권 110분, 대구권 및 대전권 98분, 광주권 91분 순이었다.
2020년 시작된 광역교통조사는 광역교통 서비스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매년 실시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한국교통연구원이 대광위의 의뢰를 받아 교통카드 등 각종 모빌리티 데이터를 이용해 진행했다.
저작권자 © 오피니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