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내부통제 강화...우리 'TF신설'·KB국민 '교차점검'·하나 '소비자보호'
상태바
시중은행 내부통제 강화...우리 'TF신설'·KB국민 '교차점검'·하나 '소비자보호'
  • 박준호 기자
  • 승인 2023.10.30 1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직원 횡령액수 2017년 19억원, 지난해 739억원
금융당국 "실무적인 내부통제 강화도 추진"
4대 시중은행(KB국민·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로고. 자료 제공=각 사

[오피니언뉴스=박준호 기자] 최근 시중은행 직원들의 배임·횡령 사고가 이어지며 은행들이 내부통제 규정을 강화하고 나섰다.

금융당국의 감독·점검 강화 기조에 따라 은행권은 조직개편, 영업점 불시점검, 상시감사 등 새로운 대책을 내놓으며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2017~2023년 7월까지 국내 금융업권별 임직원 횡령사건 내역. 자료 제공=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

금융감독원이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9억원이었던 국내 은행권 횡령액은 2018년 24억원, 2019년 67억원, 2020년 8억원, 2021년 72억원, 지난해 739억원으로 폭증했다. 올해 7월까지만 578억원으로 집계됐다.

액수로만 본다면 최근 몇 년 새 은행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크게 심해진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사실 소수의 특정 사고들이 한 해 전체 횡령 액수를 끌어올렸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지난 2016년 8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BNK경남은행에서는 2988억원의 대출금 횡령 사고가 있었다. 당초 500억원 규모로 알려졌던 사고는 금감원의 조사 결과 3000억원 규모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4월 우리은행에서는 700억원의 횡령 사고가, KB국민은행에서는 지난 2021년부터 올해 4월까지 127억원의 부당이익 취득 사고가 있었다.

실제로 횡령 건수는 크게 늘지 않는 추세다. 횡령이 적발된 임직원 수는 지난 2017년 10명, 2018년 20명, 2019년 19명, 2020년 19명, 2021년 14명, 지난해 20명, 올해 7월까지는 11명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은행권 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될 때까지 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금융사의 내부통제 혁신 방안 이행 현황 정기 점검, 경영 실태 평가 제도 개편 등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금융사지배구조법 개정안에 지배구조법 책무구조도 관련 조항이 들어가있다"며 "할 수 있다면 CEO(최고경영자)까지 책임을 묻겠다는 취지로 법안 개정 뿐 아니라 실무적인 내부통제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은행권은 올해 초부터 속속 내부통제 강화 대책을 발표하고 최근에도 관련 내용을 정비하고 있다.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지난 23일 전국 본부장급 이상 임원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회의에서 최근 현장에서 금융사고 발생 등에 대한 우려가 커져 특별히 본부장들에게 내부통제를 강화할 것을 지시했다.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지난 3월 내부통제 강화를 반영한 조직개편으로 지주 임원을 11명에서 7명으로 축소하고 이 중 6명을 교체했다. 우리은행을 포함한 9개 자회사 대표도 교체했다. 회장 직속 '기업문화혁신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해 인사·평가제도 개편, 내부통제 강화 전략을 수립하기도 했다.

KB국민은행은 올해부터 실제 보유 현금과 장부상 금액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현금 시재검사를 강화한다. 타 영업점 직원과 불시에 교차점검을 실시하는 방식이다. 본부부서와 영업점 일부 고위험업무에는 준법지원부 소속 직원이 점검하는 절차도 신설했다. 사고개연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영업점에는 준법지원부 차원의 상시감사를 운영하고 있다. 내부고발 의무 준수 직원에 대한 우대 방안도 강화하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운영리스크위원회를 신설하고 내부통제 강화에 나섰다. 내년 1월 1일 도입되는 '운영리스크 관리원칙(PSMOR)'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PSMOR은 효과적인 운영리스크 관리·감독을 위해 국제결제은행(BIS)가 제정한 원칙이다. 우리나라는 이를 은행업 감독 업무 시행세칙에 명기해 가이드라인으로 삼고 있다.

하나은행은 직원 감독 강화보다는 소비자보호에 집중했다. 비리를 막기 위한 시스템과 인력이 충분한만큼 소비자보호시스템 확대가 더욱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하나은행은 독립 전담기구인 소비자보호그룹, 금융소비자보호 총괄기관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부서 내 내부통제점검팀도 신설해 교차검증 방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 3월에는 은행 내 3대 정책으로 ▲복합적 금융 리스크요인 선제 대응 ▲금융의 사회적 책임 강화 ▲디지털 금융 확산에 따른 소비자보호체계 정비 등을 선정했다. 소비자리스크관리 영역은 기존 투자상품에서 대출상품으로까지 확대했다.

은행권은 내부통제 강화로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으로 고객 자산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며 "나아가 법규 준수와 함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