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제모습 찾아간다…광명문 돈덕전 선원전 복원
상태바
덕수궁 제모습 찾아간다…광명문 돈덕전 선원전 복원
  • 김인영 기자
  • 승인 2018.06.19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일 기공식…일제강점기에 훼철된 궁궐, 본래 모습 찾기 착수

 

지금 덕수궁 자리는 원래 월산대군의 사저였다. 임진왜란후 몽진에서 돌아온 선조가 월산대군의 집을 개조해 임시거처인 정릉행궁으로 사용한 것이 궁궐의 시초다. 광해군이 창덕궁이 중건하고, 정릉행궁을 경운궁으로 승격시켰다. 인조반정 이후 오랫동안 버림받았다가 고종이 1897년 아관파천후 돌아와 궁궐로 사용했다.

덕수궁은 1897년 대한제국 선포한 후 나라를 빼앗긴 1910년까지 13년간 대한제국의 황궁이었고, 당시는 중명전과 옛 경기여고가 있던 자리까지 포함된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19년 고종이 승하하면서 덕수궁의 궁역이 여러 가지 이유로 잘려나가고, 궁궐의 전각들은 훼손되었다.

1920년대에는 현재의 덕수궁과 미국대사관 사이에 담장 길이 조성되어 덕수궁이 둘로 쪼개 졌고, 조선왕조의 근원인 선원전 영역은 총독의 손에 넘어가 조선저축은행 등에 매각되었다. 선원전은 헐려 창덕궁으로 옮겨졌다. 또 덕수궁 중심영역의 공원화 계획으로 돈덕전마저 헐리고, 함녕전의 정문이었던 광명문도 지금의 자리로 옮겨져 유물을 보관하는 전시관으로 변해버렸다.

 

▲ 자료: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19일 ‘덕수궁 광명문 제자리 찾기’ 기공식을 갖고, 일제에 의해 변형되고 왜곡된 덕수궁의 제 모습을 찾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문화재청은 1919년 고종의 승하 이후 제 모습을 잃어버린 덕수궁의 원래 모습을 되찾고자 광명문, 돈덕전, 선원전을 원래 모습으로 복원해 나갈 계획이다.

 

▲ 덕수궁 복원도 /문화재청

 

① 광명문, 제 자리로 이전

 

광명문은 일제강점기에 옮겨졌다. 2016년 원래 자리를 발굴한 결과, 광명문과 배치형태가 같은 건물지 1동을 확인했다.

건물지는 12기의 적심시설을 가진 정면 3칸, 옆면 2칸의 건물지로, 경운궁(덕수궁의 옛 이름) 중건 배치도(1910년) 상의 광명문지와 그 위치와 배치상태 그리고 평면형태가 같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문화재청은 발굴결과를 토대로 실제 이전을 위한 실시설계도를 만들었다. 광명문 제자리 찾기 공사는 기공식 행사를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광명문 내부에 보관되어있는 유물들은 올해 안으로 보존처리를 할 예정이다.

창경궁 자격루(국보 제229호)와 신기전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대전)로 옮겨 보존처리하고, 흥천사명동종(보물 제1460호)은 부피와 중량을 고려하여 경복궁 궐내각사지에 임시 처리장을 만들어 보존처리할 예정이다. 보존 처리를 마치면 자격루와 신기전은 국립고궁박물관으로, 흥천사명동종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마땅한 장소를 검토하여 이전 설치할 예정이다.

 

▲ 덕수궁 종합정비 조감도 /문화재청

 

② 돈덕전, 대한제국 관련 자료관으로 재탄생

 

돈덕전은 1902년 고종 즉위 40주년을 맞아 칭경(稱慶, 축하)예식을 하기 위한 서양식 연회장 용도로 지어졌다. 고종을 만나기 위한 대기장소나 외국사신 접견장소, 국빈급 외국인 방문 시 숙소 등으로 활용되었다. 1907년에는 순종이 즉위하는 곳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순종이 거처를 창덕궁으로 옮긴 후에는 덕수궁 공원화 사업 때문에 훼철되었고 이후에는 아동 유원지로 활용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돈덕전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는 지난해 마쳤으며, 지금은 복원을 위한 설계를 하는 중이다. 연내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1년 완공할 예정이다. 복원이 마무리되면 대한제국과 관련한 자료관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선원전 권역 복원 조감도 /문화재청

 

③ 선원전, 2038년까지 3단계로 복원

 

덕수궁 선원전은 고종이 대한제국 황제로 즉위하기 전 가장 먼저 신축했던 중요한 건물이었다. 하지만 1900년 10월 화재로 불타게 되자, 당시 미국공사관 북쪽 수어청자리(정동부지, 옛 경기여고 터)로 옮겨 1901년 7월 11에 복원되었다. 그러다 1919년 1월, 고종이 승하한 후에는 모두 없어져 다른 건물이 들어섰다가 해체되는 과정을 겪어왔다.

해방 이후에는 경기여고 용지로 쓰이다가 주한미국대사관에 양도되었다. 2003년 6월 미국대사관 기숙사 건립을 위한 문화재 지표조사 중에 덕수궁 선원전 터가 확인되면서 용산 미군기지 내 부지와 맞교환하기로 합의되어 2011년 우리나라에 다시 소유권이 넘어왔다.

선원전 권역인 정동부지는 2011년까지는 미국대사관, 경기여고 등의 부지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교환된 부지 사이에 경계벽이 설치되고 아관파천 당시 고종이 걸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고종의 길’이 지난해 말 완공되면서 복원이 시작되었다.

문화재청은 2038년까지 3단계에 걸쳐 진전(眞殿)인 선원전(璿源殿), 빈전(殯殿)으로 사용되던 흥덕전, 혼전(魂殿)인 흥복전 등 주요 전각과 부속건물(54동), 배후림(상림원), 궁장(宮牆) 등을 복원해 나갈 예정이다.

올해는 선원전 지역의 발굴조사를 위하여 미 대사관에서 사용하던 조선저축은행 사택, 미부대사관 관저 등 건물 9동과 시설물들을 철거할 계획이다. 철거 전 작년에 완공된 ‘고종의 길’과 철거 건물들도 개방할 것인데, 선원전이 해체된 후 여러 용도로 사용되던 역사적 장소를 국민이 둘러볼 수 있도록 일정 기간 공개하기로 했다.

 

(용어)

* 적심(積心): 건물의 기둥을 받치기 위해 초석(礎石) 아래쪽을 되파기한 후 자갈 등을 채워 넣은 시설

* 진전(眞殿): 역대 왕의 御眞(어진:초상화)을 봉안한 건물

* 빈전(殯殿): 왕이나 왕후 승하 후 그 시신을 모셔둔 곳

* 혼전(魂殿): 발인 후 부묘(祔廟, 종묘에 신주를 옮기기) 전까지 신주(神主)를 모셔둔 곳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