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점 매출 6조, 4년새 50% 증가…“4일에 빵 한 개”
상태바
제과점 매출 6조, 4년새 50% 증가…“4일에 빵 한 개”
  • 김현민
  • 승인 2018.06.08 12: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랜차이즈 외 브랜드 제과점 비중 급팽창…3년새 92% 증가

 

빵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8일 발표한 ‘2018 가공식품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빵류 소비량은 연간 약 90개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78개에 비해 4년 사이에 12개 정도 늘어난 것이며, 한 사람당 평균 4일에 한번은 빵 1개를 먹는 셈이다.

하루 섭취하는 식품 순위 중 빵류가 2012년 21위(18.2%)에서 2016년 15위(20.9%)로 상승했고, 남자(22.6%)가 여자(19.2%)보다 3.4g 더 많이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빵 소비가 급증하면서 관련 산업도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특히 제과점업 매출은 2016년 5조9,388억원으로, 2012년 3조9,698억원에 비해 49.6% 증가했으며, 연평균 10.6% 성장률을 기록했다. 최근 식빵·카스텔라·단팥빵 등 특정 품목만 판매하는 전문점과 지역 유명 베이커리 전문점의 확대되는 추세다.

제과점 가운데 프랜차이즈 외 브랜드 시장 규모는 2016년 2조3,353억원으로 2013년 1조2,124억원 대비 92.6%의 성장률을 보였고, 제과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6%에서 39.3%로 10.7%p 증가했다.

프랜차이즈 브랜드 시장 규모 비중은 60%대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지역 유명 베이커리의 프랜차이즈 매장 등록과 일부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품목 전문점 확대 등 시장 확보 노력이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편의점등 소매유통채널에서 판매되는 양산빵의 매출도 4년 사이에 36.8%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제과점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이다.

양산빵의 소매유통채널 매출규모는 2016년 4,25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중 만주, 크림빵, 팥 샌드, 버터롤 등 다양한 유형의 빵이 포함된 일반빵의 매출은 2016년 1,286억원으로, 2015년 1,148억원에 비해 12.0% 증가했다.

케이크는 소용량 케이크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조각케이크, 롤케이크, 미니케이크와 같은 소포장 신제품이 2016년(950억원)에 많이 출시되면서 상대적으로 2015년(817억원)에 비해 매출이 증가했다.

 

빵류 제품 종류별 소매유통채널 매출 현황

 

 

 

◦ 일반빵 : (‘15) 1,148억원 → (‘16) 1,286억원 (12.0%↑)

◦ 케이크 : (‘15) 817억원 → (‘16) 950억원 (16.2%↑)

◦ 호빵 : (‘15) 575억원 → (‘16) 588억원 (2.3%↑)

◦ 호떡 : (‘15) 381억원 → (‘16) 401억원 (5.3%↑)

◦ 토스트식빵 : (‘15) 289억원 → (‘16) 262억원 (9.4%↓)

◦ 기타 식빵 : (‘15) 307억원 → (‘16) 318억원 (3.4%↑)

* 소매점유통포스데이터, 닐슨컴퍼니코리아

 

소매채널별로는 편의점(30.7%), 독립슈퍼(20.8%), 할인점(19.1%), 체인슈퍼(15.5%), 일반식품점(13.8%), 백화점(0.2%) 순으로 많이 팔렸는데, 특히 편의점의 매출액과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기존 편의점 빵류 시장은 패스트리, 파이, 번 등 기본적인 제품 구성이었으나 국내 디저트 시장의 확대와 유통채널 중 편의점의 성장이 접목되어 편의점용 디저트 빵류 시장이 확대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 디저트 빵류의 인기 이유로는 편의점 디저트류가 1~2인 가구 소비자들에게 특화되어 있고, 해외여행 증가에 따라 대만, 일본 등의 편의점에서 유명한 롤케이크, 모찌, 푸딩 등을 국내 편의점 단독으로 수입판매하거나 비슷한 제품을 출시하여 2030세대에게 인기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HMR(간편식) 트렌드에 따라 식사대용의 샌드위치, 조리빵 등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편의점 전용의 고급 디저트류가 강화되면서 빵류 시장에서의 규모를 점차 확대해 가고 있다.

 

빵류 소매유통채널별 매출 점유율 변화

 ◦ 편의점 : (‘15) 25.8% → (‘16) 30.7%
 ◦ 독립슈퍼 : (‘15) 22.8% → (‘16) 20.8%
 ◦ 대형할인점 : (‘15) 21.9% → (‘16) 19.1%
 ◦ 체인슈퍼 : (‘15) 13.9% → (‘16) 15.5%
 ◦ 일반식품점 : (‘15) 15.4% → (‘16) 13.8%
 ◦ 백화점 : (‘15) 0.1% → (‘16) 0.2%

    * 소매점유통포스데이터, 닐슨컴퍼니코리아

 

▲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공장에서 양산되는 빵의 생산규모는 2016년에 2조1,308 억원으로, 2012년 1조9,066억원 대비 11.8% 증가했다. (제과점 내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파는 생산실적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빵류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찐빵, 단팥빵 등을 포함하는 기타빵류(48.1%)이며, 그 다음으로 케이크(34.5%), 식빵(8.7%), 도넛(3.8%), 카스텔라(3.4%), 파이(1.6%) 순이다. 2012년 대비 기타빵류의 비중은 빵류 제품이 다양화되며 7.4% 포인트 증가한 반면, 그 밖의 품목들은 전반적으로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넛과 파이는 건강지향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생산이 줄고, 식빵은 식빵 전문점이 등장하면서 상대적으로 대량제조가 줄어든 것이 생산 비중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빵류의 수출규모는 2013년 3,101만 달러에서 2017년 2,710만 달러로 최근 5년간 12.6% 감소했다. 빵류 수입규모는 2017년 5,580만 달러로 나타났다.

수출에 비해 수입 증가폭이 큰 이유는 2012년부터 대형 유통업체들이 유통기한이 긴 편인 제품의 직수입 판매를 시작했을 뿐 아니라 최근에는 이탈리아, 대만, 베트남 등에서 빵 수입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수출국은 미국(42.8%), 일본(13.5%), 대만(12.1%) 등의 순이며, 이들 3개국이 전체의 68.3%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수출되는 빵류 품목은 파이와 케이크로 전체 수출의 93.2%를 차지하였다.

최근 5년간 미국으로의 수출 규모는 45.2% 증가하였는데, 한-미 FTA 이후 ‘파이와 케이크’의 관세가 0%로 되면서 특히 냉동 케이크 시트 수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베트남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한-베트남 FTA가 발효된 2015년 이후 관세가 완화되어, 베트남 내에서 자체 생산했던 물량을 국내산 냉동 파이와 케이크로 일부 대체하면서 수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일본의 경우 2012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악화된 한일관계 및 엔저현상이 빵류(특히 파이와 케이크) 수출의 감소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국가별 빵류 수입 현황》

국 가

수입액(천$)

2013

2014

2015

2016

2017

 

’13~’17

증감률(%)

비중(%)

미국

12,363

15,620

18,071

15,291

15,880

28.5

28.4

이탈리아

340

706

2,242

6,983

7,971

14.3

2,244.4

베트남

20

198

86

5,255

6,143

11.0

30,615.0

중국

1,105

2,955

5,955

6,044

6,019

10.8

444.7

일본

302

758

3,367

5,663

5,772

10.3

1,811.3

기타

4,977

5,353

5,970

8,258

14,018

25.1

181.7

합계

19,107

25,590

35,691

47,494

55,803

100.0

192.1

*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청

 

빵류 주요 수입국은 미국(28.5%), 이탈리아(14.3%), 베트남(11.0%) 등으로 나타났으며, 수출과 마찬가지로 파이와 케이크의 비중(74.2%)이 높게 나타났다.

최근 특히 수입 증가세가 두드러진 국가는 베트남으로, 2015년 한-베트남 FTA 발효 이후 국내 제과업체의 베트남 법인 생산 제품이 역수입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이탈리아에서의 수입도 최근 5년간 약 23배 증가했다. 이는 이탈리아 건강식으로 인식되는 브랜드 제품의 수입 증가와 유명 케이크 브랜드 입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에서의 수입도 최근 5년간 약 5.4배 증가하였는데, 이는 대부분 OEM 제품인 것으로 추정된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