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대기업 10곳중 3곳, 글로벌기업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받아"
상태바
대한상의 "대기업 10곳중 3곳, 글로벌기업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받아"
  • 최인철 기자
  • 승인 2022.08.28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부족
기업들이 RE100를 추진하는데 비용 부담, 제도 및 인프라 미흡, 관련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기업들이 RE100를 추진하는데 비용 부담, 제도 및 인프라 미흡, 관련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최인철 기자] RE100 (Renewable Electricity 100%)이 글로벌 공급망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제조분야 대기업 10곳중 3곳은 애플 등 글로벌 수요기업으로부터 제품 생산과정에서 재생에너지의 사용을 직·간접적으로 요구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국내 제조기업의 RE100 참여 현황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14.7%가 글로벌 수요기업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았다’고 28일 밝혔다.

대기업은 28.8%, 중견기업은 9.5%가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수요기업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은 시점은 ‘2030년 이후’가 38.1%로 가장 많았지만 ‘2025년까지’는 33.3%, ‘2026~2030년’은 9.5%로 나타나 대응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민간의 자발적 캠페인이다. RE100 캠페인에 동참하는 기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애플, 구글, BMW 등 379개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SK 7개사,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등 22개사가 RE100에 가입했으며 삼성전자는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RE100 캠페인 자체는 구속력이 없지만 RE100에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이 협력사들에게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면서 관련 국내 기업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는 단계다. ‘2021년 글로벌 RE100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RE100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중 77개사는 공급망에서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조업체 관계자는 “앞으로는 RE100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수출 경쟁력에 큰 차질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 기업들은 RE100 참여에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비용 부담(35.0%)을 꼽았다. 이어 관련 제도 및 인프라 미흡(23.7%), 정보 부족(23.1%), 전문인력 부족(17.4%) 순으로 응답했다. 

중견업체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짓거나 녹색프리미엄제도를 통해 웃돈을 주고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거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야 하는데 한국에서 드는 비용이 각각 유럽의 1.5~2배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근본적인 문제로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부족을 지적했다. 2021년 국내 전력다소비 기업 상위 30개사 대상 한전의 전력 판매실적을 살펴보면 국내 전력소비 상위 5개 기업은 47.7 테라와트시(TWh), 30개 기업은 102.9 TWh의 전력을 소비했는데 2021년 국내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3.1 TWh에 불과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실시한 ‘신재생에너지보급실적조사’에 따르면 202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7.43%로 OECD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며 OECD 평균(약 30%)에도 한참 못 미치는 상황이다.

기업들이 RE100 참여를 위해 희망하는 정책과제로는 ‘경제적 인센티브 확대’(25.1%)가 가장 많았고 ‘재생에너지 구매를 온실가스 감축실적으로 인정’(23.2%), ‘재생에너지 전력인프라 확대’(19.8%), ‘정보 및 재생에너지 사업자 매칭 컨설팅 지원’(16.5%) 순으로 조사됐다.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센터장은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