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촌의 윤동주 흔적
상태바
서촌의 윤동주 흔적
  • 김송현 기자
  • 승인 2017.08.24 1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송 교수 집에서 하숙…‘별 헤는 밤’, ‘자화상’이 쏟아진 곳

 

서울 경복궁의 서쪽 마을을 서촌이라고 부른다. 인왕산 동쪽과 경복궁 서쪽 사이로, 청운·효자동과 사직동 일대를 말한다. 이정표가 없어 골목과 골목 사이에서 길을 잃기 쉽다.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서 나와 효자로를 건너 거미줄처럼 연결된 골목을 따라 가다보면 옛 이야기가 넘쳐난다.

 

서촌을 대표하는 인물은 누구일까? 아마도 조선시대에 겸재(謙齋) 정선(鄭敾)이라면 근대에는 누가 뭐라 해도 윤동주(尹東柱)다. 영화 『동주』 상영 이후 윤동주의 흔적을 찾아 서촌을 찾는 발길이 많아졌다.

 

▲ 윤동주 /국가보훈처

윤동주가 태어난 북간도에도 많은 사람이 찾는다지만 윤동주의 흔적은 서촌에 많이 남아 있다. 인왕산중턱에 시인의 언덕이 들어서면서 더욱 그러하다. 통인시장 앞 팔각정 쉼터에서 수성동계곡으로 올라가다보면 윤동주 하숙집터를 만날 수 있다.

태평양전쟁으로 일본이 수많은 젊은이와 물자를 전쟁터로 내몰던 1941년 5월로 가보자! 이때는 일본이 조선을 병참기지화한 시기였다. 가난한 농촌의 놋숫가락까지 공출해가는 전쟁 막바지의 비참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었다. 연희전문 문과생이었던 윤동주도 이러한 시대상황을 비켜 갈 수 없었다. 전쟁식량을 조달하느라 기숙사의 식사가 너무도 부실하여 늘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살 수 밖에 없었다.

 

▲ 윤동주 하숙집터 /한선생 제공

 

마침내 친구처럼 지내는 2년 학교 후배 정병욱과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 나선다. 어디가 좋을까 물색하다 경치 좋은 곳에 이르렀으니 그곳이 인왕산 기슭이었다. 인왕산 아래 여러 집들을 두리번거리고 있는데 국문과 김송 교수의 문패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집으로 들어가니 아니라 다를까 교수님이 계셨다. 교수님께 상황을 이야기하니 흔쾌히 허락하여 그해 9월까지 그 집에서 하숙하게 된다.

김송의 아내는 성악가, 식사를 물린 후에는 언제나 교수 부인이자 하숙집 아주머니가 불러주는 가곡의 들을 수 있었다. 그 후에는 윤동주의 시낭송. 시와 음악을 주거니 받거니, 경치 좋은 곳에서 시인묵객들이 술 한잔 놓고 시조를 서로 읊는 듯한 최고의 시간이었다. 인왕산의 기슭에서 당대 최고의 음악가와 최고의 서정 시인이 벌이는 낭만의 향연이 이어졌다.

대청마루에 느긋하게 앉아 차를 마시며 음악과 문학을 논하는 깨어있는 지식인교수와 음악가,시인의 모습이 그려지지 않는가. 아침에 눈을 뜨면 정병욱과 수성동 계곡을 지나 인왕산 오솔길을 따라 지금의 시인의 언덕, 윤동주 문학관까지 산책을 갔다고 한다. 젊은 시인 윤동주가 누릴수 있었던 마지막의 호사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은 이후 윤동주의 고통스러운 삶을 보면 알게 된다.

▲ 윤동주 시집/한선생

요시찰인물인 김송 교수의 가택 수사등 일본 고등계 형사의 집요한 사찰에 이곳의 생활은 4개월정도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곳에서의 삶은 주옥같은 많은 시편을 생산해낸 계기가 되었다.

말을 하면 그것이 시가 되고, 낙서가 곧 시편이 되는 그런 시기였다. 별 헤는 밤, 자화상 같은 시편들이 이곳에서 줄줄줄 쏟아졌다. 이 시편들을 모아 시집을 만들었다. 그 시집의 첫 장이 그 유명한 『서시』다. 3권을 손으로 엮어 한권은 소장하고 한권은 지도교수, 영문과 교수인 이양하에게, 한권은 정병욱에게 주고 윤동주는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다.

이것이 어떻게 우리에게 알려졌을까? 일본 학병으로 떠날 때 정병욱은 섬진강가에서 술도가를 운영하는 어머니에게 잘 보관하라고 신신당부하며 윤동주의 시집을 맡겼다. 어머니는 어디에 둘까 궁리하다가 항아리에 시집을 넣고 마루를 뜯어 그 아래에 보관해 두었다. 그 뒤에 윤동주는 어떻게 되었을까? 해방을 몇 개월 앞두고 일본의 생체실험으로 희생된다. 몇년뒤인 1948년 경향신문 편집국장인 정지용에 의하여 그 시집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하숙집에서 함께 살았던 정병욱이 시집을 보관하지 않았다면 윤동주를 우리가 알고 있었을까? 우리들이 하늘과 별을 보며 외우던 온 국민의 애송시 『서시』를 알았을까? 윤동주가 많은 시편을 생산해 낸곳이 이 인왕산 아랫자락이었으니 윤동주의 흔적을 따라 서시를 외우며 인왕산으로 올라가자.

 

▲ 1930년대 서촌 /한선생 제공

 

수성동계곡을 오르는데 10분. 잠시 숨이 차오려는 사이 길에 들어 선다. 인왕산 둘레길이다. 서울이 한눈에 보인다 .왜 무학대사가 이곳 인왕산을 주산으로하여 한양을 건설하고자했는가를 확실히 알게 된다. 왼쪽부터 백악산, 낙산, 목멱산이 그대로 시야에 들어온다. 숨을 크게 들이키고 아래를 내다보면 내가 이 서울의 주인이 된 듯하다.

 

▲ 윤동주 문학관 /한선생 제공

 

인왕산 라인을 따라 걸으면 15분정도, 이윽고 시인의 언덕에 이르게 된다.

이 언덕에 이르면 윤동주문학관을 만날 수 있다. 이곳은 2009년까지 수도가압장으로 쓰던 곳이다. 고지대의 사람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1974년에 지은건물인데 낡은 이건물을 종로구청에서 사들여 관리실과 기계실을 고쳐 윤동주문학관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재미있는 것은 설계를 마치고 공사에 들어가는데 때마침 내린 비로 수도 가압장의 엄청난 물탱크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탱크를 어떻게 활용할까 고심하였다. 비록 55제곱미터의 작은 공간 이지만 높이가 5미터나 되는 깊은 건물. 건축가는 이 물탱크를 윤동주의 시세계와 접목시켰다. 윤동주의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우물이라는 시상과 연결된 공간으로 탈바꿈 시킨 것이다. 이곳 문학관에는 시인을 생각하게 하는 많은 사진과 글들이 있다. 전시실 한가운데는 시인의 생가에 있던 복원된 우물이 있다.

물탱크였던 3전시실에 들어서면 물 냄새가 나는데 이것이 투명하게 살고자했던 윤동주의 냄새가 아닐까한다. 더 크고 웅장하게 지었더라면 우리는 이곳에서 박제된 시인의 모습밖에 보지 못했을 것이다. 캄캄한 전시 공간에서 윤동주를 생각하고 나오니 이제 나도 시인이 된 느낌이다.

 

▲ 윤동주 생가 우물 /한선생 제공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