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국정안정' 선택한 민심…국민의힘 '압승'
상태바
[6·1지방선거] '국정안정' 선택한 민심…국민의힘 '압승'
  • 박대웅 기자
  • 승인 2022.06.02 0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심, 견제론보다 안정론 선택…국민의힘 4연패 사슬 끊어
하반기 국회 원(院) 구성 두고 여야 대립 가능성도 커져
이재명·안철수·오세훈 승리…경기도지사 초박빙 승부
이준석 국민의힘 상임선대위원장, 권성동ㆍ김기현 공동선대위원장 등이 1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국민의힘 제8회 지방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출구조사 방송을 시청하며 환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1일 오전 6시부터 전국 1만4465개 투표소에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최종 투표율은 50.9%로 역대 지방선거 중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지방선거 최종 투표율 60.2%보다 9.3%포인트 낮은 수치며 역대 지방선거 중 제3회 48.9%에 이어 두 번째로 저조한 투표율이다. 반면 지난달 27일부터 28일까지 이틀간 실시된 사전투표율은 지방선거 중 역대 최고치인 20.62%를 기록했다. 저조한 투표율 속에 민심은 새롭게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국정안정에 힘을 실었다. 

1일 6·1지방선거 출구조사 결과 발표 후 국민의힘(왼쪽)과 더불어민주당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견제론 넘어선 안정론

윤석열 정부 출범 22일 만이자 대선 후 84일 만에 실시된 전국 단위 선거에서 민심은 국정안정을 선택했다. 이번 선거 앞에 지난 대선에서 불과 0.73%포인트 차이로 윤석열 대통령이 승리했다는 점을 앞세워 여권 후보들은 '정권 견제론', '권력 균형론'을 전면에 내세웠다. 

여당의 텃밭인 영남과 야당의 지지기반인 호남을 제외하면 이번 선거의 승패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캐스팅보트 지역인 충청권에서 갈렸다. 최대 격전지로 분류되는 수도권에선 서울 53.2%, 경기 50.6%, 인천 48.9%의 투표율을 보였다. 

경기도지사를 두고 여야가 박빙의 승부를 펼쳤다.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와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맞붙은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출구조사를 시작으로 양 후보는 오차범위 내 지지율을 보이며 한 치 없도 알 수 없는 승부를 예고했다. 실제 승부 역시 박빙이었다. 김은혜 후보는 개표율 30%를 넘긴 2일 0시를 기점으로 5만여표 차이로 김동연 후보를 앞서나가며 우위를 이어갔다. 

대선 후보들이 출마하며 세간의 이목이 집중됐던 인천 계양을과 경기 성남 분당갑은 2일 0시를 기점으로 일찌감치 승부가 났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개표율 37.17% 시점에서 득표율 56.69%를 획득하며 윤형선 국민의힘 후보(43.30%)를 따돌리고 여의도 입성에 성공했다. 안철수 후보 또한 개표율 60.61% 시점에서 득표율 64.21%를 획득하며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경기 성남 분당갑 보궐선거에서 승리했다. 

서울시장 선거에선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출구조사 출구조사는 물론 개표 초반부터 꾸준히 앞서며 압승했다. 오세훈 후보는 사상 처음으로 서울시장 4선에 성공했다. 이번 4선 성공으로 '대권 잠룡'으로 떠오른 오세훈 후보의 입지는 앞으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시장 임기(4년)도 21대 대통령 선거(2027년)보다 한 해 앞선 2026년 끝난다. 

하반기 국회 개원을 앞두고 지방선거 승리를 발판으로 국민의힘이 여소야대 원내 구성을 어떻게 돌파할지 주목 된다. 사진=연합뉴스

'지방선거 승리' 국민의힘, 여소야대 극복하나

국민의힘은 지난 대선에 이어 6·1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며 지방권력까지 탈환했다. 2016년 총선을 시작으로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와 2020년 총선까지 전국 단위 선거에서 내리 4연패를 했던 국민의힘은 이번 선거를 계기로 중앙과 지방에서 권력을 되찾아 왔다. 이번 지방선거를 발판으로 국민의힘이 후반기 21대 국회 원(院) 구성을 어떻게 이뤄낼지 주목 된다. 지난달 29일로 전반기 국회는 임기를 마쳤지만 여야가 원 구성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한 탓에 의장단과 상임위 없는 공백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당장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건 법제사법위원장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법사위원장을 넘기지 않겠다고 맞서고 있지만 민심이 정권 안정론에 힘을 실어 준 만큼 민주당이 법제사법위원장을 내주지 않겠다는 종전 입장을 고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지방선거 패배 후 당 수습 과정에서 민주당이 법사위원장 등 쟁점 협상에서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