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중앙은행, "달러 의존 낮춰 금보유량 31만에 최고 수준""
상태바
각국 중앙은행, "달러 의존 낮춰 금보유량 31만에 최고 수준""
  • 이상석 기자
  • 승인 2021.12.26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달러 공급량 증가, 2008년 금융위기 계기 가치하락 주원인
올해 9월 현재 세계 중앙은행의 전체 금 보유량은 약 3만 6000톤으로 10년 전에 비해 15% 증가했고 1990년 이후 31년 만에 최대 수준이 됐다. 사진=로이터/연합
올해 9월 현재 세계 중앙은행의 전체 금 보유량은 약 3만 6000톤으로 10년 전에 비해 15% 증가했고 1990년 이후 31년 만에 최대 수준이 됐다. 사진=로이터/연합

[오피니언뉴스=이상석 기자] 세계 각국 중앙은행과 공적기관이 외화준비 자산으로 미 달러화를 대신해 금 보유량을 늘렸다..

세계금협회(WGC)는 최근 10년간 세계 중앙은행이 늘린 금 보유량은 총 4500톤이 넘는다고 26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올해 9월 현재 세계 중앙은행의 전체 금 보유량은 약 3만 6000톤으로 10년 전에 비해 15% 증가했고 1990년 이후 31년 만에 최대 수준이 됐다.

폴란드의 중앙은행은 2019년 금을 100톤 정도 사들였고 헝가리는 올봄에 금 보유량을 종전의 3배인 90톤 수준으로 늘렸다.

올 들어 9월까지 태국 중앙은행이 90톤, 인도가 70톤, 브라질이 60톤 정도 금을 사들였다.

각국 중앙은행의 이런 움직임에는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으로 달러 공급량이 계속 불어나 달러 가치가 크게 떨어진 것이 주된 요인이라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달러 가치는 리처드 닉슨 미 행정부가 금본위제를 폐지한 1971년 이후 50년 사이에 50분의 1 수준으로 낮아졌다고 한다. 미국의 통화 공급량이 50년 동안 약 30배로 불어난 결과다.

금은 미 국채 등 달러화 자산과 비교할 때 금리 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특정 국가의 경제 상황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세계 금융시장 혼란도 견뎌내는 장점이 있다.

신용 리스크나 거래 상대의 파탄 위험이 없다는 점도 각국 중앙은행이 선호하는 이유다.

과거에 금을 대량으로 사들이는 중앙은행은 미국과 정치적으로 대립해 달러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러시아 등 일부 국가로 한정됐으나 최근에는 자국 통화가치 하락 위험에 노출된 신흥국이나 경제 규모가 크지 않은 동유럽을 중심으로 금 매입이 두드러졌다.

중앙은행 등의 금 보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한 시점은 2009년경이다. 이전까지 금을 팔아 미 국채 등 달러 자산을 모으는 움직임이 확연했다.

동서 냉전이 끝난 뒤 1강 체제를 구축한 미국이 1990년대 들어 호경기를 누리면서 달러 자산이 창출하는 수익력이 매력적이었기 때문이었다.

지난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촉발한 리먼 쇼크를 계기로 미 국채에 투자했던 자금도 빠져나가면서 달러 자산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게 됐다.

닛케이는 세계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으로 달러 자산 장기 보유에 따른 이점이 줄었다며 신용이 약한 신흥국 중앙은행이 금으로 자산을 보전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준비자산으로 금 비중이 커지면서 세계 통화별 외화준비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에 2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달러 위상은 추락세를 보였다.

현물 금 시세는 지난 24일  1트로이온스(약 31.3g)에 1808달러대로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양적완화의 축소를 본격화한다고 표명한 지난 15일 직전 시점보다 2% 뛰었다.

닛케이는 연준이 양적완화 종료 입장을 명확히 하고 내년부터 금리를 올리겠다고 예고했지만 세계 경제가 금융완화에 익숙해졌고 팽창한 통화를 줄이는 일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금을 선호하는 신흥국 중앙은행의 흐름이 바뀌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