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추진 '대환대출', 은행권 자체 플랫폼도 허용
상태바
금융당국 추진 '대환대출', 은행권 자체 플랫폼도 허용
  • 권상희 기자
  • 승인 2021.07.09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위,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자 선정할 민간TF 구성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권상희 기자] 금융당국이 오는 10월 도입을 목표로 추진중인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을 두고 은행과 빅테크의 충돌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은행권이 자체적으로 공동 플랫폼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등 은행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할 방침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대환대출 플랫폼 민간 태스크포스(TF) 구성과 관련해 각 금융업권의 의견을 청취 중이다. 

금융결제원에서는 민간TF의 간사 역할을 맡아 대환대출 플랫폼 인프라를 담당할 예정이다. 

TF는 각 금융업권에서 추천한 민간 전문가로 구성될 예정이다. 

민간TF의 업무는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자를 선정할 평가기준을 만드는 일이다.

이에 따라 은행권이 빅테크에 참여 문턱을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참여할 핀테크 업체는 금융위원회가 혁신금융으로 지정한 대출비교서비스를 운영 중인 12곳이다.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 NHN페이코 등 빅테크 플랫폼과 핀다, 핀셋, 팀윙크, 핀마트 등 중소 핀테크업체와 스타트업 등이 플랫폼 사업자 후보군이다.

대환대출 플랫폼 놓고 은행권·핀테크 갈등 격화

금융당국의 대환대출 플랫폼은 소비자가 은행, 카드사, 저축은행 등의 대출 상품 금리를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한눈에 비교하고 손쉽게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다. 

다만 은행들은 이러한 플랫폼에 참여하게 될 시 '은행이 플랫폼을 운영할 빅테크·핀테크의 하청업체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은행과 빅·핀테크는 ▲운영시간 ▲수수료 ▲상품 공개 범위 등을 놓고도 첨예한 갈등을 벌였다. 

은행은 대환대출 플랫폼 영업 시간을 은행 영업시간으로 제한하고자 했지만, 빅·핀테크는 소비자 편의를 위해 24시간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수료의 경우에도 은행들은 금융상품에 대한 신용 리스크를 지지 않는 플랫폼이 과도한 수익을 얻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해왔다. 

반면 빅·핀테크는 최종 판매사가 적정 수익을 가져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상품 공개 범위 또한 은행권은 일부 상품만 공개하기를 원하는 반면 빅·핀테크는 모든 상품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은행권 달래기 나서…은행권 전체 참여 전망

대환대출 플랫폼을 둘러싼 갈등이 심해지면서 금융권에서는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이 플랫폼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알려지기도 했다. 

다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불참을 밝힌 적은 없다"며 "아직은 플랫폼 참여를 검토 중인 단계"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폭넓은 참여를 위해 은행권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검토할 전망이다. 

앞서 은행권은 금융당국에 은행연합회와 함께 자체적으로 공동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금융위는 이같은 조건도 수용해 은행의 자율성을 보장하겠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위가 추진하는 일인데 특정 은행만 빠지고 특정 은행은 들어가게 되면 사업의 의의가 없어진다"며 "만일 플랫폼을 만들게 된다면 은행권 전체가 참여하거나 혹은 다같이 참여하지 않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