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SMR(소형모듈원전) 주저할 틈이 없다"
상태바
전경련, "SMR(소형모듈원전) 주저할 틈이 없다"
  • 최인철 기자
  • 승인 2021.06.23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생태계 회복, 인허가·정책지원 강화
국내 원전산업 현황. 그래픽제공=전경련

[오피니언뉴스=최인철 기자]세계적으로 소형모듈원전(SM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관련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요국의 SMR 개발 및 정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요국은 SMR을 탄소중립을 위한 중요 수단으로 인식하고 실증과 상용화를 위한 계획까지 체계적으로 수립·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반해 한국은 혁신형 SMR 개발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추진 단계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원전생태계 회복, 인허가 체계 완비 및 정책지원 강화, 구체적인 상용화 계획 수립을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소형모듈원전(Small Modular Reactor)은 기존 대형원전의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한 전기출력 300MW 안팎의 소형원자로다. 탄소배출이 거의 없고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2020년 9월 기준 세계에서 개발 중인 SMR 노형은 71개로 미국(17개), 러시아(17개), 중국(8개), 영국(2개) 등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SMR 시장은 2030년경부터 본격적인 상용화가 예상되며 영국 국립원자력연구소는 2035년 시장 규모가 390~62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수력원자력 역시 2030~40년까지 매년 약 100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교체 수요를 두고 SMR이 천연가스 등과 경쟁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차세대 원자로 기술과 SMR 개발에 7년 간 32억 달러(약 3.6조원) 투자를 확정했다. 민간에서도 SMR 개발이 활발하다. 뉴스케일(NuScale)의 SMR이 설계인증을 획득하고 아이다호 주 국립연구소에 발전소 건설을 확정했다. 빌 게이츠가 설립한 테라파워(TerraPower)는 10억 달러(약 1.1조원)를 들여 와이오밍주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사용후핵연료를 재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인 소듐냉각고속로가 적용된 SMR을 건설하여 2030년부터 가동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은 해상부유식 SMR을 선정하고 국유기업인 중국핵공업집단공사(CNNC)를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미 세계 최초로 해상 부유식 SMR을 상용화해 2020년 5월부터 동시베리아의 페벡(Pevek) 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2028년까지 동시베리아 야쿠티아(Yakutia) 지역에 육상 SMR 건설해 상용화 한다는 계획이다.

영국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원자력 발전과 SMR을 선정해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SMR 개발·상용화와 차세대 원자로 기술에 3.85억 파운드(약 6000억 원)을 투자하며 기존 계획된 신규 대형원전(힝클리포인트 C)도 차질 없이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 민관이 모두 참여하는 롤스로이스 컨소시엄은 2035년까지 SMR 10기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 다목적 소형원전인 SMART를 개발해 2012년 표준설계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SMART의 경우 SMR에 적합한 인허가 체계 미비, 과기부-산업부-원자력안전위원회 등의 정책지원 지연 등으로 인해 10년째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에너지전환정책 영향으로 원전산업 매출액이 2016년 27.5조원에서 2019년 20.7조원으로 24.5%나 감소하고 종사자, 관련 전공 재학생, 수출액 등 생태계 전반이 약화된 상황이다. 전경련은 한국이 향후 SMR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전산업생태계 복원, 인허가 체계 완비 및 정책지원 강화, 구체적인 상용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재생에너지발전 비중이 약 40%에 달하는 영국조차 SMR과 원전을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인식하고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SMR과 원전 활용을 확대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