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올 세계 경제 5.8% 성장 전망···2022년 4.4% 예상
상태바
OECD, 올 세계 경제 5.8% 성장 전망···2022년 4.4% 예상
  • 이상석 기자
  • 승인 2021.05.31 21: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3월 전망치보다 0.2%P 상향 조정
코로나19 백신접종 확대와 정책지원 영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1일(현지시간) 발간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3월보다 0.2% 포인트 올린 5.8%로 제시했다. 사진=연합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1일(현지시간) 발간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3월보다 0.2% 포인트 올린 5.8%로 제시했다. 사진=연합

[오피니언뉴스=이상석 기자] 세계 경제 전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와 정책 지원에 힘입어 차차 밝아진다는 전망이 나왔다.

경제 회복 속도에 있어서 선진국과 신흥국간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마냥 낙관할 수만은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1일(현지시간) 발간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3월보다 0.2%P 올린 5.8%로 제시했다.

로랑스 분 OECD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세계 경제가 3.5% 위축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올해 6% 가까이 성장한다는 전망은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OECD는 내년 말까지 전 세계 대부분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선진국 클럽'으로 불리는 OECD 회원국조차 2022년 말까지 생활 수준을 코로나19 전으로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게 OECD의 관측이다.

정상 궤도로 복귀하는 속도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 정책 지원 수준에 따라 국가마다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20개국(G20) 중에서는 인도의 성장률 전망치가 9.9%로 가장 높고 중국 8.5%, 영국 7.2%, 미국 6.9%, 아르헨티나와 캐나다 6.1%로 그 뒤를 따랐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홍역을 앓았던 인도의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3월보다 2.7% 포인트 하향 조정된 것이다.

지난해 플러스 성장한 중국은 올해에 이어 내년(5.8%)에도 탄탄한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재정정책의 긴축전환 가능성과 기업부채 확대와 같은 위험 요인이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백신 접종 가속화와 정책 지원을 등에 업은 미국은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내년에도 3.6%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전망 보고서[자료=연합]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전망 보고서[자료=연합]

일본의 경우 대외 수요 확대 등으로 생산 흐름이 양호하지만 봉쇄 조치가 소비를 제약하면서 올해 2.6%, 내년 2.0% 성장을 예상했다.

유로존은 올해 1분기 성장세가 다소 부진했지만 백신 접종에 속도가 빨라지면 성장에 탄력이 붙어 올해 4.3%, 내년 4.4%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세계 성장률은 지난 3월보다 0.4% 포인트 오른 4.4%로 전망했다. 국가별로 인도 8.2%, 스페인 6.3%, 중국 5.8%, 영국 5.5% 순으로 전망치가 높았다.

OECD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신속하고 완전하게 진행된다면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올해 6.5%, 내년 5∼6%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와 달리 백신 접종 속도가 기대만큼 뒷받침되지 않고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할 때는 올해 5%, 내년 3%로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는 시나리오를 내놨다.

OECD는 경제 회복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을 신속하게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위한 국제적 협력을 촉구했다.

분 이코노미스트는 "신흥국과 저소득 국가에 코로나19 백신이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점이 매우 불안하다"며 "전 세계 인구 대다수가 백신을 접종하지 않는 한 우리는 모두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출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OECD는 아울러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피해 계층에 집중된 확장적 재정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재정정책 정상화는 거시경제 상황과 고용지표를 봐가며 판단하되 급격한 정책 축소는 지양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