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보이콧 차이나'…삼성전자에 '반사이익' 될까
상태바
인도의 '보이콧 차이나'…삼성전자에 '반사이익' 될까
  • 김상혁 기자
  • 승인 2020.06.22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도-중국 국경 무력 충돌, 인도내 '반중 정서 확산'
삼성전자, 스마트폰·5G 장비 사업 확장 계기
인도의 중국 무역 의존도, 불매 운동 제한적이란 의견
중저가는 중국 스마트폰, 프리미엄은 애플 인기
인도인들이 인도-중국 국경 무력충돌 후 반중국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인도인들이 인도-중국 국경 무력충돌 후 반중국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김상혁 기자] 인도-중국의 국경 분쟁으로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인도 시장 점유율 확대의 기회를 맞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아직 삼성전자가 넘어야할 산이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인도와 중국의 국경인 라다크 지역 갈완 계곡에서 양측 군사들 간 무력충돌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인도 측에선 20명의 사망자가, 중국 측에선 수십명의 부상자가 속출했다.

이런 이유로 인도 전역에서는 중국산 제품을 보이콧하자는 운동이 확산 중이다. SNS 등에서는 인도인들이 중국산 전자제품, 옷, 장난감 등을 버리거나 불태우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전인도무역협회 등 각종 민간 단체들도 중국 제품 불매운동을 독려하고 있다.

◆ 삼성전자, 물 들어올 때 노 저어라

이런 가운데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5위권내 유일한 비(非) 중국산인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외연 확장의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중국 스마트폰은 인도 시장의 점유율을 70% 넘게 차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점유율은 샤오미(30%), 비보(17%), 삼성전자(16%), 리얼미(14%), 오포(12%), 기타(11%) 순서였다.

이날 인도 NDTV는 "인도 소비자들이 국가 상황을 염두에 두고 선택한다면 삼성전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물 들어오자 노 젓는' 모습이다. 올해 상반기에만 '갤럭시A71', '갤럭시A51', '갤럭시A21', '갤럭시 M31' 등 중저가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라인업 강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또 '비대면 시대'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다. 페이스북과 협력해 인도의 800여 개 오프라인 매장에 디지털 서비스 교육을 실시하는 등 인도 시장 온라인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또 오프라인 매장들은 SNS를 통해 스마트폰 소개에서 판매까지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온라인 신용판매 플랫폼 '파이낸스플러스'에 택배 서비스를 추가하기도 했다.

스마트폰 뿐 아니라 5G 통신 장비 수혜도 기대된다. 인도 정부가 국영 통신사에 중국산 네트워크 장비 도입을 배제하도록 지시했기 때문이다. 민영 통신사로의 확대 가능성도 존재한다.

인도의 3대 통신사인 바티에어텔, 보다폰아이디어, 릴라이언스지오는 화웨이와 손잡고 5G 시범사업 중이다. 이 중 릴라이언스지오는 삼성전자와도 LTE시절부터 연을 맺고 있고 5G 사업도 협력하고 있다. 때문에 이번 사태를 계기로 릴라이언스지오 뿐 아니라 다른 두 통신사도 삼성전자와 새로운 파트너를 맺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효식 코트라 인도 벵갈루루 무역관은 "한국 기업의 인도 5G시장 선점이 이뤄질 경우 통신기지국, 중계기 등 통신장비에 대한 수요가 나타날 수 있어 우리 기업들의 현지 시장 진출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샤오미의 20만원 대 스마트폰. 사진=샤오미 제공
샤오미의 20만원 대 스마트폰. 사진=샤오미 제공

◆ 견고한 '중국 저가폰 만리장성',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인도의 대중 무역 관계를 볼때 이번 '중국 불매 운동'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이유다.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중국은 매년 인도의 최대 수입국 지위를 차지했다. 인도의 대(對) 중국 수입 규모는 연 700억 달러이며 무역 적자는 연 500억 달러에 이른다. 

특히 2018~2019년 인도의 대중 수입액은 703억 2000만 달러(약 85조 3262억 원), 대중 무역수지 적자는 535억 6700만 달러(약 66조 9981억 원)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품목은 전자기기류, 원자로·보일러·기계류다. 전자기기류는 수입품목 중 매년 50% 이상을 차지하다가 2018~2019년에는 약40%로 줄어들었다.

인도 정부의 싱크탱크이자 상공부의 IIPT(Indian Institute of Foreign Trade, 인도무역연구소)에서 국제무역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유학생 A씨는 "인도의 무역구조는 중국의 의존도가 너무 커서 불매 운동이 불가능한 수준"이라며 "(인도의 중국 불매 운동은)이번이 처음도 아니라 흐지부지 끝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때문에 삼성전자의 점유율 확대가 기대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란 예측도 제기된다.

A씨는 "인도인들은 브랜드 충성도보다는 가격에 상당히 민감하다"면서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들이 가격도 낮게 책정했지만 셀피, 스피커 등 중요하다 생각하는 부분에 힘을 주니까 비싼 삼성 스마트폰을 살 이유가 사라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2015년까지는 인도 내 점유율 1위를 기록하다가 중국 저가폰 공세에 밀려 3위까지 밀려났다. A씨는 "삼성도 뒤늦게 ODM 계약으로 중저가폰을 내놓고 있지만 중국 제품들의 진입 장벽이 상당히 견고하다"고 짚었다.

프리미엄폰(기준 500달러)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애플에 밀려 고전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인도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1위는 갤럭시S10 시리즈 판매 호조에 힘입은 삼성전자(36.0%)였다.

당시 애플은 3위(2위 중국 '원플러스')였지만 2018년 모델인 아이폰XR 가격을 30만원 가량 내리면서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늘리기 시작, 3분기 50.1%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28.8%로 내려앉았다.

업계 관계자는 "구매력을 갖춘 인도인에게는 아이폰 선호도가 높다"면서 "갤럭시S 시리즈는 애플과 중국 스마트폰 사이에서 약간 애매한 위치를 차지한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인도 매체 인디언익스프레스 역시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의 분석을 통해 "인도에서 반중국 정서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며 "인도 소비자 입장에서 중국의 스마트폰을 계속 구매하는 것 외에 다른 옵션은 없다"고 보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