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뉴스=이상석 기자] '챗GPT'의 전 세계적 열풍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에 미국 실리콘밸리 대기업에 뒤이어 바이두, 알리바바 등 중국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들도 잇따라 가세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는 현재 오픈AI의 인공지능 챗봇 '챗GPT'와 유사한 대화형 챗봇을 내부적으로 시험 중이라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알리바바는 지난 몇 년간 거대언어모델과 생성형 AI를 집중적으로 개발했다고 밝혔으나 자사의 원격근무 지원 서비스 플랫폼인 '딩톡'과 결합 가능성에 대한 확인 요청은 거부했다.
거대언어모델은 엄청난 분량의 문서를 학습한 후 질문을 이해하고 답변을 할 뿐 아니라 새로운 문서를 생성해 내는 자연어 처리 체계를 말한다.
전날인 7일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도 유사한 서비스인 '어니봇'를 다음 달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홍콩거래소에 상장된 바이두 주가는 15%나 급등했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업체 JD닷컴(징둥·京東)도 '챗GPT'와 유사한 기술을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고객상담 등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또 중국의 모바일 게임업체 넷이지도 유사한 서비스를 자사 교육사업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앞서 구글이 6일 '챗GPT' 대항마로 대화형 AI 서비스 '바드'를 테스트를 거쳐 수주 내 공개한다고 발표하자 MS는 다음날인 7일 본사에서 언론 행사를 열고 '챗GPT' 기술과 검색 엔진 '빙'을 결합한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상석 기자kant@opinionnews.co.kr
저작권자 © 오피니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오피니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