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세상읽기](58) 규제 돌파구 찾는 공유車 업계
상태바
[모빌리티 세상읽기](58) 규제 돌파구 찾는 공유車 업계
  • 박대웅 기자
  • 승인 2022.10.30 14: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버·카카오모빌리티, 광고 사업 강화
우버 "2024년 광고로 1조원 벌 것"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규제 개혁 속도
우버 등 모빌리티 업체들이 광고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불과 40년전 노트북은 공상과학 영화의 소품 정도였다. 20년전 스마트폰은 먼 미래의 상징일 뿐이었다. 이제 인류는 스마트폰과 노트북에 버금가는 이동 수단의 혁명을 준비하고 있다. 이르면 10년 후 늦어도 20년후 세상을 또 한번 바꿔 놓을 ‘모빌리티’. 아직도 모빌리티에 대한 개념은 모호하다. 모빌리티는 인류가 육·해·공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자동차에만 국한되지도 않는다. 모빌리티를 준비하는 글로벌 자동차·IT업계 동향을 연재한다. [편집자 주]

[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국내외 공유차 업체들이 플랫폼 노동자와 갈등, 당국의 강화되는 규제들 속에서 다양한 신사업을 통해 해법을 찾아내고 있다. 

우버 "2024년 광고로 1조원 벌 것"

우버와 리프트 등 국외 차량 공유 업체들은 모빌리티를 활용한 광고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19일 우버는 신설한 글로벌 광고 부문을 통해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앱) 내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 광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버가 새롭게 공개한 '저니 광고(journey ads)'는 이용자가 우버 차량을 앱으로 호출한 뒤 이동경로를 확인하거나 도착지에서 내리는 순간 광고를 노출시킨다. 이용자들이 설정한 도착지 정보 등과 연관된 광고를 내보낸다는 게 우버 측의 설명이다. 또한 차량 뒷좌석에 태블릿을 부착해 디지털 광고도 시범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우버는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지난해 기준 1억4100만 달러(약 2000억원) 수준이던 광고 수준을 2024년 10억 달러(약 1조4250억원)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리프트 역시 지난 8월 디지털 광고 비즈니스 부문을 신설하고 광고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광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리프트는 2020년 차량 상단에 부착한 스크린을 활용한 디지털 광고 사업을 하는 '할로 카스(Halo Cars)'를 인수했다. 현재 뉴욕과 LA 등에서 디스플레이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차량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로 광고 사업을 펼치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 사진제공=카카오모빌리티

공유차량을 활용한 옥외 및 실내 인포테인먼트 광고가 주목 받는 건 도심 중심지를 이동하면서 많은 이들에게 광고를 효과적으로 노출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더해 플랫폼 노동자, 당국의 규제 등으로 골머리를 앓아왔던 모빌리티 업계에 광고는 비교적 자유로운 대체 수익 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는 것도 한 몫한다. 특히 모빌리티 광고는 타깃형 광고이자 새로운 마케팅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애플은 지난해 이용자가 허락하는 경우 앱이 이용자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도록 자사 프라이버시 정책을 변경했다. 이에 구글과 페이스북 등 기존 SNS 플랫폼 광고의 효과성이 떨어지면서 모빌리티 광고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의 모빌리티 업계 역시 비교적 손쉽게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광고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디지털 사이니지(전자 광고판) 스타트업 '플러스티브이'를 60억원에 인수했다. 디스플레이에 상영되는 이미지와 영상 등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다. 이 회사를 통해 카카오T 앱을 통한 온라인 광고와 카카오T 블루 뒷좌석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쏘카의 편도 서비스 이미지. 사진제공=쏘카

"원하는 곳에 반납" 카셰어링 ‘편도 서비스’ 뜬다

자동차 공유 업계가 편도 서비스 확대 경쟁을 펼치고 있다. 편도 서비스는 빌린 차를 출발지가 아닌 목적지에 반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국내 자동차 공유 업계 1위 쏘카는 지난달부터 전국 10개 도시(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광주, 세종, 창원 등)에서 편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 7월부터 두 달간 진행한 베타서비스에서 1만7000건의 이용 기록을 세워 편도 서비스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보다 앞서 쏘카는 대여한 장소에 자동차를 반납하지 않고 최종 목적지 인근 주차 가능한 곳 어디든 주차하는 서비스를 내놓기도 했다. 전국 4800여개 쏘카존 중 80%에 해당하는 3900여곳이 여기에 해당한다. 쏘카 측은 "쏘카존 반경 50km 내라면 어디든 반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피플카 또한 지난해 8월부터 편도 서비스 '리턴프리'에 집중하고 있다. 피플카는 서울에서 편도 서비스 베타서비스를 시작으로 경기도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피플카는 현재 서울과 수도권에 주차장 300여곳, 자동차 250여대를 배치해 월 이용건수 1만건을 달성했다. 

정부도 규제 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64조는 '편도로 대여한 자동차는 15일을 초과해 상시 주차하거나 영업하지 못한다'고 규정한다. 15일 이내에 대여한 차를 등록기준지로 가져와야 한다는 의미로 업체들은 별도의 기사를 고용해 왔고 이는 그대로 수수료에 반영돼 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9일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규제 완화를 약속했다. 이와 동시에 자동차 편도 대여 사업도 날게를 달게 됐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공유 자동차 편도 이용자가 자동차를 반납할 경우 사업자가 자동차를 대여 장소로 다시 이동시킨 후 영업해야 하는 현행 규제를 이동 수요에 따라 편도 반납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과제도 있다. 쏘카의 경우 쏘카존과 반납지 거리에 따라 추가 비용을 km당 800원씩 더 받고 있다. 주차 공간을 늘릴수록 소비자 부담이 낮아지는 현행 구조에서 공유차 업계의 주차 공간 확보는 향후 경쟁력 강화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역시 이런 문제점에 착안해 철도 역사 등 교통 거점 주차장과 공영 주차장 등에 전용 주차구역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