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실, 수세식 화장실 사용…안압지서 발굴
상태바
신라 왕실, 수세식 화장실 사용…안압지서 발굴
  • 김인영 기자
  • 승인 2017.09.26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강암 변기 아래에 배수시설…항아리 물을 퍼서 내려 보내

 

신라 왕실이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가 신라왕실의 별궁인 동궁(東宮)과 월지(사적 제18호, 옛 사적명: 안압지)의 북동쪽 인접지역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수세식 화장실 유구를 발굴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유구는 화장실 건물 내에 변기시설, 오물 배수시설까지 함께 발굴된 신라 왕궁의 화장실 유구인 것으로 확인됐다.

화장실 유구는 초석 건물지 내에 변기가 있고, 변기를 통해 나온 오물이 잘 배출되도록 기울어지게 설계된 암거(暗渠, 지하를 파서 물을 빼는 고랑) 시설을 갖춘 복합 변기형 석조물이 있는 구조다.

변기형 석조 구조물은 양 다리를 딛고 쪼그려 앉을 수 앉는 판석형 석조물과 그 밑으로 오물이 밖으로 나갈 수 있게 타원형 구멍이 뚫린 또 다른 석조물이 조합된 형태다. 구조상 변기형 석조물을 통해 내려간 오물이 하부의 암거로 배었던 것으로 보인다.

 

▲ 변기형 석조물 /문화재청

 

사용방식은 변기에 물을 흘려 오물을 제거하는 수세식으로 추정되며, 물을 유입하는 설비가 따로 갖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준비된 항아리 등에서 물을 떠서 변기하부로 오물을 씻어 내보내는 방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궁과 월지 화장실 유구의 특징은 통일신라 최상위 계층의 화장실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주었다. 특징으로는 ▲ 고급석재인 화강암을 가공하여 만든 변기시설과 ▲ 오물 제거에 수세식 방식이 사용된 점 ▲ 변기 하부와 오물 배수시설 바닥에 타일 기능의 전돌(쪼개어 만든 벽돌)을 깔아 마감한 점 등이다. 이런 점을 미루어 통일신라 왕궁에서 사용된 고급 화장실의 실체를 짐작할 수 있다.

 

▲ 변기시설과 배수시설 연결 모습 /문화재청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불국사에서 변기시설(8세기)만 발견되거나 화장실 유구(익산 왕궁리, 7세기 중엽)만 확인되었을 뿐, 화장실 건물과 변기시설 그리고 오물 배수시설이 이렇게 같이 발굴된 사례는 없었다. 이번 동궁과 월지에서 확인된 화장실 유구는 화장실이라는 공간과 그 부속품들이 한 자리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로, 현재까지 조사된 통일신라 시대까지의 고대 화장실 중 가장 고급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라 왕실의 화장실 문화의 발달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게 됐다.

 

▲ 동문으로 추정되는 건물지 /문화재청

 

또 발굴현장 동편에서 동궁과 월지의 출입문으로 추정되는 대형의 가구식 기단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건물지의 외곽을 따라 화강암재의 가구식 기단의 지대석과 계단시설이 2곳 남아있는데, 인근의 도로(임해로) 때문에 가로막혀 건물지 동서방향의 규모를 정확히 알 수는 없는 상태지만, 남북 21.1m, 동서 9.8m(추정) 정도라서 전체의 규모를 얼추 짐작할 수 있는 단서가 되고 잇다.

 

* 가구식(架構式) 기단: 석조기단의 일종으로 주로 화강석을 사용해 만드는데 그 만드는 방식이 마치 목조가구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며 통일신라 시대 주요 건물지에서 주로 확인됐다.

 

건물지의 성격을 보면, 통일신라 시대 왕경 남북도로에 맞닿아 있다는 점, 건물지 규모에 비해 넓은 계단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을 볼 때 문지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문은 아니더라도 동쪽에 자리한 점으로 보아 그동안 동궁과 월지에서 한 번도 발견된 적 없던 출입문이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발견이며, 유적 전체의 규모와 경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인왕동 박물관네거리에서 시작하여 동궁과 월지와 황룡사 사이를 지나는 경주 임해로 하부에는 통일신라 시대의 왕경 남북대로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동궁 내 생활과 관련된 창고시설과 물 마시는 우물을 확인했고, 다양한 생활유물 등도 출토되어 신라 왕궁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자료로 확보했다.

 

▲ 출토 유물 /문화재청

 

이번에 발굴조사가 실시된 경주 동궁과 월지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직후 문무왕 14년(674년)에 세워진 동궁과 주요 관청이 있었던 곳으로, 1975년 문화재관리국(문화재청 전신) 경주고적발굴조사단에 의해 처음 조사되었다. 첫 조사 당시 인공 연못, 섬, 동궁 관련 건물지 일부가 발굴되었으며, 3만 여점의 유물이 출토되면서 학계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07년 동궁과 월지 북동쪽 인접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시작해 지금까지 대형건물지군, 담장, 배수로, 우물 등 동궁 관련 시설을 꾸준히 확인하고 있으며, 2007년 이전에 출토된 것과 동일한 종류의 기와와 벽돌, 토기류 등의 유물들도 계속 출토하고 있다.

발굴조사 현장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22-2번지 일원이다.

 

▲ 경주 동궁과 월지 조사지역 /문화재청
▲ 동궁과 월지 ‘가’지구 유구현황 /문화재청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