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수출기업 10곳 중 8곳, 공급망 리스크 노출"
상태바
무협 "수출기업 10곳 중 8곳, 공급망 리스크 노출"
  • 최인철 기자
  • 승인 2022.05.02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급망 교란 수출기업 영향 조사
무협은 공급망 리스크 선제대응을 위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무협은 공급망 리스크 선제대응을 위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피니언뉴스=최인철 기자]수출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노출된 가운데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과 기업의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일 발표한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 109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85.5%의 기업이 공급망 위기로 인해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가장 큰 애로는 물류 지연, 운송비 폭등 등 ‘물류난’(35.6%)이었으며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채산성 악화’(27.8%), ‘특정지역 봉쇄로 인한 피해’(16.9%)가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장기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공급망 교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들은 핵심 품목의 대체선 발굴(35.9%) 및 재고 확보(17.8%)로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응전략이 없거나(12.4%), 일시적인 생산 감축 및 중단(15.3%)으로 대처하는 등 공급망 위기에 실질적인 대응이 어려운 기업도 전체 4곳 중 1곳에 달했다.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는 ‘물류난 완화’(39.4%)를 꼽아 물류 지연 해소를 위한 선복 확보, 운임비 등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제적 위기관리 및 대응을 위한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운영’(20.8%)에 대한 수요도 컸다.

박가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공급망 위기극복과 기업의 회복탄력성 제고를 위해 정부는 물류난 등 문제 해결에 힘쓰는 한편 상시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기업들이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