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사태'에 금융시장도 '출렁'…금리인상 속도 빨라지나
상태바
'우크라 사태'에 금융시장도 '출렁'…금리인상 속도 빨라지나
  • 권상희 기자
  • 승인 2022.02.28 1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7, 러시아 스위프트 배제에 이어 국내도 동참
"연준, 대응 위해 대차대조표 다시 확대해야 할 수도"
3월 금리인상은 아직 유효…25bp 인상 예측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권상희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의 러시아 스위프트 배제 등 다양한 변수들이 맞물리며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은 코로나19 이후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서고 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진 만큼 속도조절이 불가피해졌다. 

한국은행의 경우 이달 금리를 동결하고 숨고르기에 들어갔지만, 추가 금리인상 시점은 여전히 시장의 관심사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이 올해 금리를 2%까지 올릴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시기도 예상보다 빠를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러시아 스위프트 배제 동참… "경제 타격 불가피"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전략물자 수출을 차단하고, 러시아에 대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배제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영국, 독일 등 주요 7개국(G7)은 전날 러시아 은행들을 스위프트에서 차단하는 추가 제재안을 내놓았다. 스위프트는 200여개 국가의 1만1000개 은행을 연결해 빠른 국경 간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금융망이다. 스위프트에서 배제된 금융기관은 국제 결제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물가상승은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4일 금통위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국이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며 "전면전으로 갈 경우 곧바로 원자재 수급 불균형이 나타나고, 국내 물가상승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서방에서 경제 제재 수위를 상당히 높이면 글로벌 교역이 위축되고 국내 생산과 수출도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박승진 하나금융투자 수석연구위원은 "단기간 내에 화해가 이뤄지는 긍정적 케이스나 서방국가들과 러시아의 전면전으로 연결되는 최악의 케이스보다는 현재의 국지전 상황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서방의 제재 조치도 장기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제재 조치가 더해지는 과정에서 직접적 제한 뿐만 아니라 규제를 우려한 거래 위축 요인까지 더해지며 러시아의 교역이 전방위적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며 "경제 제재 조치는 주요 상품가격들의 상승과 더불어 인플레이션 경로 전망을 상향시키는 흐름으로 연결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금융권에서는 이러한 물가상승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이 금리인상을 연내 2%까지 단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추가 금리인상은 빠르면 4월, 늦어도 5월이며 하반기에도 두 차례 인상이 가능하다고 시장은 예상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 역시 4~5월 중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전망했다. 박석길 JP모건 금융시장운용부 본부장은 "한은 금통위의 다음 금리 인상 시점으로 4월을 예상하지만, 5월로 시점이 연기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은이 2분기와 3분기에 각 25bp(1bp=0.01%포인트)씩 금리를 인상해 올해 말 1.75%로 올릴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  

금통위는 지난 24일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하면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3.1%로 상향 조절했다. 

연준 금리인상 속도 관심사…다시 완화 이어질 수도

국제사회의 스위프트 제재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시도에도 제동이 걸렸다. 러시아 제재로 인해 발생하는 미지급금에 대응하기 위해 연준이 달러를 공급할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졸탄 포자르 크레디트스위스(CS) 투자전략가는 "러시아를 스위프트에서 제외하면 막대한 미지급금과 당좌대월(한도대출)이 발생할 수 있다"며 "양적 긴축을 통해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도했던 연준은 다시 대차대조표를 확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3월 금리 인상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과거 연준은 지정학적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통화정책 변경을 지양했으나, (이번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시급하고 심각하다는 판단에 의한 금리 인상 입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쟁 발생 전까지 시장에서는 연준이 3월에 금리를 50bp 인상할 수도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이달 초까지만 해도 "7월 1일까지 금리를 100bp 인상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역시 기준금리를 6월까지 1%포인트 올려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그러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직후 94%까지 상승했던 CME그룹의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50bp 인상 확률은 이달 26일 기준 21%까지 하락했다. 동시에 25bp 인상 확률은 79%까지 상승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