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부터 일본시장까지...네이버, 하반기 시총3위 탈환 가능할까
상태바
메타버스부터 일본시장까지...네이버, 하반기 시총3위 탈환 가능할까
  • 정세진 기자
  • 승인 2021.06.26 0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카오와 네이버 경쟁이 코스피 3300선 돌파 공신
대형 IPO 앞둔 카카오, 이미 주가에 선반영됐다는 분석도
교보증권 "네이버, 성장의 지표를 기다리는 시기"
네이버, '쇼핑-물류-광고-배달 서비스' 잠재성 커
카카오에 시가총액 3위 자리를 내줬던 네이버가 올 4분기 이후 3위 자리를 재탈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잇따라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정세진 기자] 카카오에 시가총액 3위 자리를 내줬던 네이버가 올 4분기 이후 3위 자리를 재탈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 25일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51% 오른 3302.84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 때 3316.08까지 오르며 장중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카카오와 네이버가 시총 3위 자리를 놓고 상승 경쟁을 펼치면서 3300선 돌파에 공신 역할을 했다는 평이 나온다.

카카오와 네이버의 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네이버와 시총격차를 좁히면서 끝내 네이버를 넘어선 카카오역시 아직도 주가에 반영시킬만한 호재는 적지않다. 

특히 올 하반기 상장이 예정된 카카오뱅크의 예상 시총은 최대 40조원에 이른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반기 상장 예정인 카카오페이 역시 10조원대 대어로 꼽힌다. 여기에 대만과 태국은 물론 미국 시장에서도 콘텐츠 사업을 진행 중인 카카오엔터와 카카오모빌리티 상장도 준비 중이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자회사 상장이 오히려 주가 상승을 더디게 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기한다. 최근 카카오 주가 강세는 이같은 IPO 이슈가 선반영된 탓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장기적익 수익성 차원에서 네이버의 사업구조가 더 경쟁력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와 비교했을 때 네이버 자회사의 기업공개(IPO) 시점이 다를 뿐 네이버 자회사의 가치가 오히려 더 클 수 있다는 주장다. 

박지원 교보증권 연구원은 “네이버는 현재 이커머스, 메타버스, 컨텐츠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시기이며 주식보상비용으로 인한 영업이익 성장 압박 여전히 존재한다”면서도 “이커머스, 메타버스, 컨텐츠 등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 월간활성화이용자(MAU) 증가, 탑라인 매출 가시화 등 외형 성장의 지표를 기다리는 시기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제페토에서 게임한다...네이버의 무기 ‘메타버스’

IT업계가 가장 주목하는 네이버의 자산 중 하나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운영하는 네이버의 손자회사 네이버Z다.

네이버Z는 하반기 중 제페토에 게임 기능을 추가한다는 계획이다. 

업계가 게임 기능에 주목하는 이유는 게임 내 화폐를 통해 창작자에게 수익을 보장해주는 보상제도 기능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제페토 내에서는 각종 아이템을 제작해 수익을 얻는 창작자들이 있다. 

네이버는 올 하반기부터 게임 ‘더 샌드박스( The Sandbox)’와 협업해 각자의 플롯폼에 서로의 테마 맵을 설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도가 높은 샌드박스형 게임 특성상 맵 창작의 폭도 넓어 진다. 이용자는 하나의 대체불가능토큰(NFT)을 제페토와 더 샌드박스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제페토에 패션 악세사리 정도의 콘텐츠 제작을 넘어 새로운 게임 세계관을 도입하면 그에 따른 사용자 유입과 금전 보상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다. 

교보증권에 따르면 메타버스 플랫폼이 스마트폰과 같은 파급력을 갖출 것으로 가정할 때,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게임 시장은 향후 2025년까지 461억달러(약 52조2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메타버스 플랫폼 광고 시장 규모 역시 210억달러(약 23조7000억원) 규모로 커진다는 관측이다. 

이커머스 1위 네이버, 물류-광고-배달 서비스 잠재력 보유 

이 같은 광고 플랫폼과 가장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는 쇼핑이다. 최근 이커머스업계와 물류업계는 네이버의 광폭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쿠팡의 성장세 못지 않게 네이버 역시 유통, 물류, 이커머스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네이버는 커머스 부문에서 CJ대한통운과 협력해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물류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달 경기도 군포에 풀필먼트(통합 물류관리) 센터를 오픈하고 오는 8월에는 신선식품 전용 저온 풀필먼트 센터도 문을 연다.  

AI 수요 예측 시스템과 물류 로봇 등을 도입해 스마트물류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그간 물류 경쟁력은 쿠팡에 비해 네이버의 약점으로 평가됐다. 

여기에 전국 160여개 점포를 가진 이마트와의 협업으로 시장 점유율을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3분기부터 ‘네이버 장보기’ 주문시 소비자 주변 이마트 점포를 기반으로 신선식품 등을 빠르게 배송하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향후 물류 센터를 대신해 도심 곳곳에 위치한 이마트 점포에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물품을 보관하고 풀필먼트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  

고객 데이터와 물류 역량은 오프라인 매장 대상 노출 광고인 ‘플레이스 광고’ 수익을 높이는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네이버의 오프라인 주문 결제 서비스인 ‘네이버 주문’의 월별 이용자수는 지난해 1월 대비 지난 4월에 무려 2225% 증가한 바 있다. 중장기적으로 음식 주문 시장에서 네이버가 지분 투자한 ‘부릉‘과 ‘생각대로’ 등과의 협업해 ‘플레이스 광고’-’스마트주문’-’음식 배달’ 등 서비스 도입도 가능하다.

가치 반영 안된 사업이 수두룩...페이, 웹툰, 클라우드

광고와 쇼핑, 메타버스 플랫폼뿐만 아니라 이미 수익을 내고 있는 네이버 자회사 중 시총에 가치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사업들이 많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에서는 KDB산업은행이 참여하는 ‘토스’의 유상증자 기업가치를 8조2000억원으로, 카카오페이의 시가총액 역시 10조원대로 추산한다. 네이버페이는 카카오페이보다 결제액이 2.5배 이상 많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페이 서비스 결제액에 비례한다면 네이버페이의 가치는 최대 32조원에 달한지만 현재 시총에 적절히 반영되지 못한다고 있는 상황이다. 웹툰 역시 월간활성화 사용자수와 거래액을 감안하면 최대 18조원의 가치평가가 가능하지만 시총에 적절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평이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네이버는 야후재판과 협력해 일본 이커머스 시장 진출도 가능한 사업자”라며 “클라우드, 웹툰, 제페토 등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성이 높은 사업이라 잠재력을 감안한다면 현재의 주가는 저평가된 게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