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노사 손 잡았지만...앞길은 오리무중
상태바
아시아나항공 노사 손 잡았지만...앞길은 오리무중
  • 유호영 기자
  • 승인 2020.02.17 1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시아나항공 노사가 17일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아시아나항공 노사가 17일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유호영 기자] 아시아나항공 노사가 오늘(17일)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위기 극복을 위해 함께 손을 잡았지만 갈길은 멀어보인다.

17일 오전 아시아나항공은 본사에서 `조종사 노동조합`, `일반노조`, '열린 조종사 노조` 등 3대 노조와 함께 `위기 극복과 합리적 노사문화정착을 위한 아시아나항공 노사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공동 선언문에는 ▲안전운항 수행을 위한 전심전력의 노력 ▲노사협력의 중요성 인식 및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협력적 노사관계 유지 ▲노조 위기극복에 한마음으로 동참, 회사는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노력 경주 ▲공동의 노력 통한 현 위기상황 극복 및 항구적 노사 상생의 문화 정립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 아직까지 자구안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제시된 사실이 없다"며 "내부적 논의를 통해 차후 계획을 세부화시켜나갈 생각"이라고 전했다. 

아시아나항공 19년 1분기~3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자료제공=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 2015~2019년 1분기~3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추이. 자료=아시아나항공

최근 수년간 아시아나항공의 경영이 악화일로를 걷자 노사가 이처럼 위기극복을 위해 손을 마주잡은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 항공의 지난해 1분기 매출액은 1조 7232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 7196억원 대비 0.5% 상승했지만 2분기와 3분기는 1조 4813억원, 1조 5633억원으로 각각 4%, 18.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분기 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의 큰 폭으로 하락했고 2분기엔 -1070억원, 3분기엔 -451억원의 수치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적자전환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1분기 실적이 나온 직후 비수익노선인 ▲시카고 ▲사할린 ▲하바라롭스크 ▲델리를 운항하지 않기로 결정한 반면 수익성 높은 상용노선인 울란바타르와 중국노선은 증편하기로 계획했다. 

임원 연봉을 최대 20%까지 반납, 무급휴직 확대 등의 대안도 내놓았고 A380 항공기의 일등석을 없애는 강수도 뒀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는 비상구 좌석 판매, 이코노미스마티움(우선 탑승 가능, 좌석의 폭 일반석 대비 +7~10cm)가격 인상 등을 수익성 개선 계획으로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시아나항공의 수익성은 개선되지 않았고 결국 지난해 11월 사업실적 부진을 직접 밝혔다.

회사는 경영악화 이유로 ▲환율상승으로 인한 외화비용 증가 ▲운용리스 회계변경으로 인한 부채 및 외화환산손실 증가 ▲국토부 `정비 안전기준 강화`로 인한 정비투자 증가 및 가동률 저하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화물실적 감소 등을 이유로 들었다. M&A의 영향으로 영업실적개선이 어려웠다는 내부적 요인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오늘 발표된 공동선언문 또한 이러한 위기감에 나온 궁여지책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은 "경쟁항공사의 B737 NG,MAX 운항 및 도입 차질로 인한 반사효과와 비수익노선 운항 중지, M&A 평판리스크 해소 등으로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이라 기대된다"고 밝혔지만, 현재 상황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아시아나항공의 발목을 잡는 또 다른 문제는 `우발채무`다. 

지난 2017년 아시아나항공은 독일 루프트한자와 합작한 LSG스카이셰프코리아(LSG)와 맺은 계약을 파기하고, 중국 하이난그룹과 합작한 게이트고메코리아(GGK)와 새롭게 계약을 맺었다.

그 과정에서 LSG는 `아시아나항공이 모기업인 금호홀딩스가 발행한 1600억원 규모의 투자 요구를 LSG가 거절하자 GGK에 사업을 넘겼다`는 취지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 

이에 공정위는 금호아시아나그룹 박삼구 전 회장 등 아시아나항공 경영진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잠정 결론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른 과징금과 LSG, CGK가 각각 제기한 소송까지 합하면 수백억원대의 추가적 자금 출혈 가능성도 존재한다.  

또한 유럽연합(EU)가 조사하고 있는 `화물 유류할증료 담합 건`의 결과에 따라 수백억원 규모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위험성도 제기된다.

노조와 회사가 차후 어떠한 세부계획을 통해 작금의 위기를 극복할지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