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자율주행 자동차, 2027년 도로 위를 달린다
상태바
완전자율주행 자동차, 2027년 도로 위를 달린다
  • 변동진 기자
  • 승인 2019.10.15 1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
2030년 전기·수소차 점유율 33% 확대 추진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변동진 기자]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상용화에 성공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24년까지 관련 제도와 인프라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2030년까지 국내 신차 중 전기·수소차 비중을 33%까지 확대하는 등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초소형차부터 트럭, 버스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모든 차종에 전기·수소차를 생산하고, 충전 인프라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는 15일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관하에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선포식’을 열고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 신성장동력 확보 위해 ‘미래차 로드맵’ 제시

정부가 ‘미래차 전략’을 내놓은 까닭은 최근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내연기관차 시대에서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로 급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구글과 아마존 등 IT(정보통신) 선두기업들은 자율주행에 대한 개발 및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경우 지난해 기준 국내 제조업 전체 생산액의 13%, 수출액의 11%, 고용의 11%를 차지한 핵심 분야다. 이같은 점을 고려하면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대응해야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2027년 완전자율주행차 세계 최초 상용화…제도적 걸림돌도 해소

정부는 우선 2027년까지 전국 주요 도로에서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레벨 4’는 운전자 없이 시내 주행이 가능한 수준을 말한다.

현재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자율주행 개발 단계는 ‘레벨3’(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지정된 목적지까지 운전자 개입 없이 고속도로 등을 운행할 수 있는) 정도다.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2월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서울에서 평창까지 190㎞ 구간을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하는 기술력을 선보인 바 있다.

정부는 ‘완전자율주행 세계 최초 상용화’를 위해 2021년까지 레벨3 수준의 부분자율차 상용화를 달성할 계획이다. 완전자율차 출시 목표는 2024년이다. 현대차 역시 이 시기 완전자율차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어 오는 2027년 완전자율차 상용화를 이룰 계획이다. 예정대로 목표를 달성한다면 2030년엔 레벨 3~4 수준의 자율차가 신차 시장의 50%가량을 차지할 것이라는 게 정부 전망이다.

정부는 또 레벨4 자율차의 시스템·부품·통신 등에 필요한 핵심부품·차량시스템 및 인프라 기술개발에 1조7000억원(2021~2027년)을 투자할 계획이다. 인지와 판단, 제어 등 자율주행 3대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완전자율주행 시스템을 국산화하고, 인공지능 시스템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센서·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국산화와 5G 연계 통신기술 등도 중점 개발한다.

정부는 또 2027년 상용화에 앞서 2024년까지 통신,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등 4대 자율주행 인프라를 전국 주요 도로에 완비하기로 했다. 5G 또는 웨이브(WAVE) 등 무선통신 방식을 2021년까지 결정하고, 2024년까지는 고속도로, 국도, 주요 도심도로 등 전국 주요도로에 차량통신 인프라를 완비할 계획이다.

지형지물 인식에 필요한 3차원 도로지도와 차량 교통신호 원격 제어, 교통흐름 제어 등에 필요한 통합 교통관제 연계시스템을 2030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차량 센서 인식률 개선 등에 필요한 도로 신호등·안전표지 모양 전국 일치화 작업도 2030년까지 마치기로 했다.

자율주행차 제작·운행 기준, 성능검증체계, 보험, 사업화 지원 등에 관련된 각종 제도적 기반을 2024년까지 완비한다. 자율주행 등 미래차 서비스 개발을 방해하는 각종 제도적 걸림돌도 해소할 방침이다. 2020년부터 완성차 회사가 보유한 차량데이터를 모든 서비스 개발 기업에게 전면 공개하고, 비(非)식별화 등을 통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규제샌드박스 등을 활용해 자율셔틀, 자율택시, 화물차 군집주행 상용화 등 민간 주도 3대 서비스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전기·수소차 판매 비중, 2030년까지 10배 이상 늘린다

이와 함께 전기·수소차 국내 신차 판매 비중을 올해 2.6%에서 2030년 33%로 늘릴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4%에서 10%까지 끌어올린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30년까지 승용차부터 트럭·버스까지 친환경차 라인업을 모든 차종으로 넓힌다. 전기차는 고급세단과 소형 SUV·소형트럭, 수소차는 중대형트럭과 SUV가 중심이다. 

보조금 개편과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성능 개선도 유도한다. 전기차의 경우 2025년까지 한번 충전으로 600㎞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40분이 걸리는 충전 시간을 15분으로 줄인다. 2022년까지 수소차 내구성을 50만㎞로 강화하고 부품 100%를 국산화한다. 현재 7000만원대에 달하는 차량 가격은 2025년 4000만원대까지 낮출 계획이다.

2022년까지로 예정된 친환경차 구매 보조금 지원과 2022년, 2021년 각각 일몰되는 개별소비세·취득세 인하 제도의 경우 연장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수소 가격은 2030년까지 현재의 50% 수준으로 낮춘다. 

충전인프라도 대폭 확충한다. 현재 전국에 31기뿐인 충전소는 2030년까지 660기로 늘린다. 주요도시에서 20분 이내에 충전소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급속 전기충전기는 매년 1500기 이상 설치해 현재 5427기에서 2025년 1만5000기까지 확대한다.

정부는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지원책도 발표했다. 단기적 자금난 해소와 미래차 설비 확충 등에 2조원 이상을 공급한다. 2025년까지 핵심인력 2000명을 양성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해외 업체 수요에 맞춘 수출연계형 R&D와 마케팅도 지원한다. 전체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 기업비중을 4%에서 23%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소재·부품 전용펀드 등을 통해 핵심소재·부품 자립도도 현재 50%에서 80%로 끌어올린다.

이밖에 2024년까지 ‘부처합동 미래차 전략회의’를 신설,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길 방침이다. 또 완성차·부품사는 물론 IT 기업까지 참여하는 미래차산업 얼라이언스, 양대노총·업계로 구성된 ‘노사정포럼’ 운영 등을 통해 미래차 로드맵 추진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세계 생산 7위의 자동차 강국인 우리에게 미래차 전환은 자동차 산업이 크게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미래차 전환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산업 전반의 혁신동력도 크게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