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찾아가는’ 홍콩 금융시장…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상태바
‘안정 찾아가는’ 홍콩 금융시장…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 김솔이 기자
  • 승인 2019.09.05 1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콩당국, 송환법 철회 발표에 홍콩H지수 1만300선 회복
빠른 시장안정화 추세 속에 “불확실성 지속” 의견도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사진=연합뉴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김솔이 기자] 홍콩 금융시장이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철회 소식에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홍콩시장에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홍콩증시에서 항셍지수(HSI)는 전날보다 7.70포인트(0.03%) 내린 2만6515.53에 장을 마쳤다. 장중 2만6697.85까지 오른 지수는 오후 들어 하락 전환했다. 다만 지난달 15일 기록한 연저점(2만4889.93)과 비교하면 6.53%나 올랐다.

홍콩항셍차이나기업지수(HSCEI‧홍콩H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95.95포인트(0.93%) 상승한 1만384.14로 마감했다. 지수는 장중 1만450.37까지 올랐으나 장 막판 상승폭을 줄였다. 최근 저점을 기록한 지난달 15일의 9731에 비해서는 6.7% 가량 오른 수치다.

◆ 홍콩당국, 4일 송환법 철회 공식 발표

앞서 홍콩증시는 전일 캐리 람 행정장관이 대규모 시위를 촉발한 송환법을 철회한다는 소식에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캐리 람 장관은 지난 4일 녹화 연설을 통해 홍콩 시위대의 첫 번째 요구 조건인 송환법 철회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홍콩 야당 등은 중국 본토로 인권운동가 혹은 반정부 인사 등이 인도될 수 있다며 송환법에 반발, 지난 6월부터 시위를 벌였다. 이번 캐리 람 장관의 발표로 시위를 불러일으킨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제거되면서 홍콩 사태가 진정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에서는 두 달간 시위로 출렁였던 홍콩 금융시장이 송환법 철회를 기점으로 점차 안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홍콩은 아시아 금융시장의 허브로 통한다. 중국 당국 입장에서 당장 홍콩의 허브 기능을 포기할 수 없어 시위가 확산되는 데 따른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 “中, 홍콩 금융시장 허브 기능 이용할 수밖에”

실제 지난해 중국 본토 직접 투자금의 70%가 홍콩을 거쳤다. 홍콩이 허브 기능을 잃는다면 외국인 투자금이 싱가포르 등 대체 지역으로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중국에 대한 투자가 부진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아시아 금융시장 전반적으로 글로벌 자금 이탈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중국 당국은 홍콩의 아시아 금융허브 기능을 상하이 혹은 심천으로 이전하고 싶어 한다”며 “하지만 중국 경기가 둔화하는 가운데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 불안을 겪고 있어 현재로선 여의치 않고 오히려 금융허브 기능을 싱가포르로 빼앗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당국 입장에서 당장에 홍콩 금융시장의 허브 기능을 외면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결국 시위를 진정시키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홍콩 연계 ELS에 대한 우려도 완화될 듯

홍콩증시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주가연계증권(ELS)에 대한 우려도 점차 완화될 전망이다.

이들 ELS는 홍콩 시위 이후 홍콩증시가 하락하자 ‘녹 인(Knock-In) 구간’에 진입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였다. 국내 증권사가 발행하는 ELS 대부분 최초 기준가격 대비 35%~50% 가량 하락할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녹 인 구간에 들어선다.

홍콩증시 회복을 기대할 경우 홍콩증시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스텝다운형 ELS’에 접근할 수 있다. 이 ELS는 6개월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조기상환 시점에 기초자산 가격이 최초 설정시보다 5~15%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원리금을 받는다. 만기 시점에는 기초자산이 녹 인 구간까지 하락한 적이 없으면 수익을 볼 수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홍콩 사태의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니지만 일부분 안정 국면에 접어든 만큼 홍콩증시에 적절한 투자시점이 될 수 있다”이라며 “분할 매수 관점에서 홍콩증시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상품에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송환법 반대 시위에 나온 홍콩 시민들이 센트럴 차터가든 공원을 가득 채웠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31일 송환법 반대 시위에 나온 홍콩 시민들이 센트럴 차터가든 공원을 가득 채웠다. 사진=연합뉴스

◆ 시위 확산 가능성…불확실성 계속될 수도

다만 일각에선 홍콩 사태의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신중한 투자를 당부하고 있다. 송환법 철회만으로 시위대를 진정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홍콩증시 상승폭이 줄어든 점도 이같은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캐리 람 장관은 송환법 철회를 제외한 ▲경찰의 강경 진압에 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 시위대의 요구사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제 홍콩 시위대 일부는 캐리 람 장관의 발표를 “작고 모호한 조치”라고 칭하며 모든 요구사항이 수용될 때까지 시위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위대는 오는 7일 홍콩국제공항 주변 교통을 방해하는 시위를 전개하는 한편 홍콩 상업지역에서 소비 자제 운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주 홍콩 미국 총영사관 앞에서 미국 의회의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 통과를 촉구하는 ‘홍콩 인권민주 기도집회’를 연다.

만약 홍콩 시민들이 시위대를 지지하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시위가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송환법 철회 결정은 홍콩 사태를 진정시키는 데 아무런 역할을 못한 셈이다. 시위가 폭력 사태로 번진다면 중국 본토에서는 무력을 통한 개입까지 단행할 수 있다.

하인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행정장관 직선제 등 홍콩 시위대의 다른 요구사항은 여전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며 “송환법 철회는 홍콩 사태의 근본적 원인이 아니므로 시위가 언제 끝날지 단정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