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원금손실 예상’ DLS‧DLF 관련 합동검사 착수
상태바
금감원, ‘원금손실 예상’ DLS‧DLF 관련 합동검사 착수
  • 김솔이 기자
  • 승인 2019.08.19 1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부 파생결합상품 손실률 90% 달해
금감원, 설계·제조·판매 실태 전반 점검
우리‧하나銀 불완전판매 여부 쟁점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김솔이 기자] 금융감독원이 주요국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결합상품의 판매 과정 전반을 살필 예정이다. 국내 금융사들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DLS)‧파생결합펀드(DLF)에서 대규모 손실이 예상된 데 따른 것이다. 개인투자자 대상 DLF 판매 규모가 큰 우리은행‧하나은행을 중심으로 불완전판매 여부 등을 다툴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19일 최근 손실 가능성이 제기된 “해외금리 연계 DLF‧DLS 등 파생결합상품의 ‘설계→제조→판매’ 실태를 점검하겠다”고 발표했다. 상품을 판매한 은행을 비롯해 발행사인 증권사, 자산운용사를 대상으로 검사국이 이달 중 합동검사에 착수한다.

금감원 측은 “일부 파생결합상품의 경우 레버리지(leverage)가 높아 만기 시 손실률이 90%를 웃돌 것”이라며 “이들 상품의 설계부터 판매에 이르게 된 전 과정을 점검하고 내부통제시스템을 집중적으로 살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글로벌 금리 변동으로 손실가능성이 있으면서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은 파생결합상품 잔액은 8224억원이었다. 이중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에 연계된 파생결합상품 판매 잔액(1266억원) 전체가 손실 구간에 진입해 있다.

또 영국 파운드화 이자율스와프(CMS‧Constant Maturity Swap) 7년물 금리 및 미국 달러화 CMS 5년물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상품 판매 잔액 6958억원 중 5973억원(85.8%)이 손실 구간이다.

다만 아직 만기가 도달하지 않아 손실 규모를 확정할 수 없다. 문제는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손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는 점이다.

DLS는 주식‧주가지수 외에도 금리‧통화·실물자산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융상품이다. 금리가 기초자산일 경우 만기 시점에 금리가 상품 가입 당시 설정한 구간 안에 있어야 연 3~5%의 수익을 낼 수 있다. 반면 금리가 구간을 벗어난다면 원금을 모두 잃을 수 있는 ‘고위험’ 상품이다.

증권사가 DLS를 구성하면 자산운용사들은 이 DLS를 사모펀드 포트폴리오에 담아 DLF를 만든다. 은행에서는 DLF를 가져다 판매한다.

금감원에서는 특히 개인투자자의 대규모 손실을 내다보고 있다. 문제가 된 상품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는 3654명으로 7326억원어치 상품을 사들였다. 1인당 2억원 상당을 투자한 셈이다. 반면 법인투자자의 경우 188곳에서만 898억원을 투자했다.

원금 손실이 불가피한 개인투자자 대부분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에서 DLF에 가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은행은 개인투자자 1829명에게 3603억원어치를, 우리은행은 1632명에게 3414억원어치를 판매했다. 금감원은 두 은행의 불완전판매 여부와 내부 통제 작동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전망이다.

또 손실 우려가 커지자 금감원에는 지난 16일까지 불완전판매를 주장하는 분쟁조정 신청 29건이 접수됐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 검사를 실시하는 한편 분쟁조정 내용에 대해서도 현장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만약 이 과정에서 불완전판매가 확인된다면 법률‧판례‧분쟁조정 사례 등을 참고해 분쟁조정 절차를 밟는다.

이외 리버스 구조 파생결합상품을 판매한 ▲국민은행(262억원) ▲유안타증권(50억원) ▲미래에셋대우(13억원)은 검사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들 상품은 모두 수익구간에 있다. 

금감원은 아울러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라 이외 고위험 금융상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확대할 방침이다. 금감원 측은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은 글로벌 경기 하락 가능성, 미‧중 무역분쟁, 홍콩시위 등으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금리, 환율, 유가 등을 기초로 한 파생결합상품 등 고위험 금융상품의 발행‧ 판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