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리포트] 깨트려야 하는 한국의 '유리 천장'
상태바
[뉴욕 리포트] 깨트려야 하는 한국의 '유리 천장'
  • 김나현 뉴욕 통신원
  • 승인 2019.08.07 17: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계 기업 근무경험중 '성차별' 만연 확인
선진국 접어든 한국사회서 이해할 수 없는 '현상'
여성에 우호적 근무환경 필요...한국, 성차별 '유리천장' 깨길

 

김나현 뉴욕통신원
김나현 뉴욕통신원

[오피니언뉴스=김나현 뉴욕 통신원] 2년 전, 나를 포함해 직원 6명이 근무하는 미국 현지의 작은 '한국 신문사'에서 인턴을 한 경험이 있다.  비서직 또는 IT 담당자가 없었기에, 몇몇 직원들은 추가 업무를 담당했다., 전화 응답, 손님 안내, 회의 일정 관리와 같은 비서/리셉션 업무를 맡고 있던 여직원들은 이런 잡무에서 어느 정도 벗아날 수 있다는 기대로 나를 환영했다. 

뉴욕의 '한국 신문사' 인턴쉽 경험

나는 인턴으로서 가능한 많은 도움이 되고자 맡은 업무에 최선을 다하려했고, 유일한 인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직원들은 점심식사 중 벌어지는 대화에도 나를 참여시켰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런 토론들이 내게는 노동 조합 회의를 연상하게 했다). 

여직원들은 각자의 직무 이외의 다른 업무를 수행하는데 따라초과 근무를 해야한다는 것에 대해 불평을 토로했다.  이들은 같은 급여를 받으면서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더 많은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재미교포 여성인 내 친구 또한 한국에 있는 마케팅 회사에서 일했을 때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한다. 그도 자신의 직무 이외의 일들을 다른 여직원들과 함께 처리했고, 비서/안내의 역할 뿐만 아니라, 점심 식사를 주문하고, 식탁을 준비하고, 정리하고, 커피 심부름까지 했다고 한다. 

사무실 분위기가 좋아 여직원들이 그리 불평을 하지는 않았으나, 그 친구는 "여자들은 부엌에 있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이 떠올려졌다고 한다.  또한 "나는 여자이기 때문에 늦게까지 일할 필요가 없지만, 당신은 남성이기 때문에 달라” 등의 논쟁이 직원들 사이에서 벌어졌다고 한다. 

연관이 별로 없지만, 나는 예전 인턴십 과정때 여성으로서 직장에서 살아남기가 쉽지 않고, 여직원들이 일자리를 단지 시간 떼우기로 셍각한다고 얘기했던 것이 떠올랐다. 또한 부하 남자 직원이 승진해 사장의 측근이 되는 바람에, 사무실에서 가장 고참이던 여직원이 내가 인턴을 시작하기 일주일 전쯤 퇴사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도 났다.

한국계 회사의 공통점 '성차별'

이 두 회사는 전혀 연관이 없지만, 모두 한국계 회사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나는 아직 미국 회사에서 일을 해 보지는 못했지만, 미국에서 페미니즘으로 인한 변화의 움직임 속에서 자란 밀레니엄 세대의 여성으로서, 서방의 직장에서는 이런 유형의 성별 구분이 일반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하지만, 동서양 문화에 차이를 이해하는 아시아계 미국인이기에, 나는 한국 직장에서는 성 차별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실제로도 세계경제포럼 (World Economic Forum)에서 대한민국은 성차별 부문에서 149개국 가운데 115위를 기록했으며,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이를 부끄러운 현실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이런 차별 문화를 '유리 천장(Glass Ceiling)' 이라고 부른다. 이는 영어사전 Merriam-Webster Dictionary에서 "여성 또는 소수 민족이 상위 직책를 얻지 못하게 방해하는 조직 내의 무형의 장벽"으로 정의한다.  이런 유리 천장은 미국 여성들에게 있어서 점점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매우 두껍고 불투명하게 느껴진다.

물론 한국 직장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배경이 있다.  아들을 딸보다 선호하고, 장남이 가장 많은 상속을 받았다.  남자는 경제의 주체이고, 여자는 집에서 요리나 하며, 여성은 감정적이지만, 남자는 신뢰할 수 있다는 전통적인 고정 관념에 대해, 많은 이들이 익숙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 남자가 할 일을 여자가 지원했습니까"라니

그리고 이런 문화가 자연스럽게 직장 문화로 전달된다.  많은 젊은 한국 여성들이 높은 교육 수준과 경력에도 불구하고, 취업 면접에서 업무에 대한 자격요건이 아닌 여성으로서의 자격요건에 관한 질문을 접하게 된다. 

올해 익명의 여대생이 다른 남성 지원자와 함께 취업면담을 할 당시, 남자 지원자에게는 면접에 적절한 질문들이 주어졌지만 그녀에게는 개인적인 연애사(연애 경험이 많으면 업무 처리에 방해가 되고, 경험이 없다면 성격에 문제가 있음을 암시한다), 결혼 계획, 심지어는 왜 "남자 본연의 일"에 여자가 지원하는 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는 글을 읽었다. 

이런 종류의 질문들은 부적절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한다는 것을 이유로 미국에서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직장 생활을 하는 여성들 중에는 "안경을 쓰지 않는 것이 더 이쁘다" 등의 특정 패션 기준에 맞추게 하고, 직장 내의 성적 편견, 심지어는 성희롱을 견뎌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구시대적인 행태가 세계에서 가장 발전한 선진국 중 한 곳에서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대한민국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학업 성취도가 높고, 학사 학위 취득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유명한 은행들중 일부에서 남성 지원자를 우대하기 위해 면접과 시험 점수를 조작하고 여직원의 정원을 미리 정해 놓은 혐의를 받았고, 공기업의 CEO는 금품 수수 및  채용 비리 등으로 구속 기소됐다.

남성 지원자 우대하다 구속된 한국의 CEO

그는 더 많은 남자 직원을 채용하기 위해, 최고 점수를 획득한 여성을 비롯해 합격권에 있던 여성 지원자들을 합격자 명단에서 제외시키도록 지시한 혐의를 받았다.

한국은 지난 20년간 급속도로 발전했지만, 사회문화적 진보는 많이 뒤처진 느낌이다. 여성들 또한 자신의 개인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직업을 갖고, 현대 문명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 모두가 일을 해야하지 않을까.

하지만 직업을 가진 여성들이 어머니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 여건이 부족해 한국의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졌다. 결과적으로 여성은 직업을 갖거나 전업주부로 살아야 하는 선택을 강요받게 됨으로써 성차별을 '정당화'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인턴십이나 직장을 찾고 있는 젊은 여성들이 아이들을 양육하는 것을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또 직장생활에서 그들이 설 곳이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있다면, 한국사회는 현시대의 조류에서 뒤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문제는 성차별 너머에 있다고 생각한다. 대다수의 아시아계 기업들이 사무직 종사자들에게 유연성이 거의 없다.  미국에는 일하는 부모에게 혜택을 주는 많은 법률과 권리들이 있다.  연방법인 "Family Leave Act"는 신생아, 입양아 등 새로운 가족, 또는 아픈 가족 구성원을 돌보기 위해 직장인들이 12개월 동안 휴직을 해도 직업을 보장한다.  대부분의 일하는 부모들에게는 가족과 직장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녀 위탁과 방과 후 프로그램 등이 용이하게 제공된다. 

일하는 부모에게 비우호적인 아시아계 기업들

또한 대부분의 미국 회사들는 유연한 근무 시간과 재택 근무 정책을 제공, 능력있는 직원을 유치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미국 직장인들은 휴가를 자신들의 근로에 대가로 얻은 권리로 생각하지만, 아시아권의 직원들은 회사에서 충실하게 보여지지 않을 것을 두려워 휴가를 망설인다.

미래 세대의 한국 여성들이 이 유리 천장을 깨부수고 나올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처럼 보일 지 모른다. 물론 여성들이 우리의 미래가 될 자녀들을 양육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 임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이것이 여성들의 한계가 되고, 직업 사회에서 여성을 배제할 수 있는 핑계거리로 간주될 수는 없다.

차기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된 폰데어라이엔. 7명의 자녀를 둔 어머니로, 출산 증가가 경제발전에 기여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차기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된 폰데어라이엔. 7명의 자녀를 둔 어머니로, 출산 증가가 경제발전에 기여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한국, 사회진보 통해 여성의 '유리천장' 깨야 

세계적으로 영향력있는 선진국인 대한민국의 여성들 앞에 놓인 이 유리 천장은 과거의 유물로 끝나야 한다. 여성들에게 자녀를 부양하는 것과 자신의 독립성 중 택일해야 하는 선택권이 주어져서는 안되며, 직업을 가진 어머니로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이 부여되어야 한다. 

직장인들의 안녕과 직장 내에서의 성공이 보장되고, 여성 인력들의 가치가 충분히 인정받는 사회로 한국 사회가 구조적 개선을 이룬다면 이 유리 천장은 부숴질 수 있을 것임을 확신한다.

Glass Meant to be Shattered

Two summers ago, I interned at a modest local Korean newspaper with six active employees, including myself.  Because there wasn’t a secretary or IT guy, some of the employees had to take on extra responsibilities.  The women were particularly excited to see me, a fellow female, because I was able to take off some weight from their shoulders.  Before I had come to intern, they had to cover stereotypical secretarial/receptionist duties, like answering and screening calls, welcoming guests, and scheduling meetings.  As an intern, I wanted to be useful as possible and jumped to those responsibilities.  Despite being the only intern, I felt very welcomed because the women would include me in their lunch discussion (it somehow reminded me of union meetings).  I listened as they complained about having to stay overtime because they were too occupied with their extra duties outside their individual job description.   They got more than they signed up for- more work, more hours - with still the same amount of pay.

My close friend, who is also Korean-American female, had a similar experience when she worked in Korea at a marketing company.  She helped alongside the female workers with the extra miscellaneous jobs in the office on top of her own duties.  She had told me that the women were responsible for the same secretarial/receptionist-like duties in the office of my last internship and more - they had to order lunch, prepare the table for meals, clean up after, and make coffee runs.   The female workers didn’t seem to mind because everyone in the office got along very well, but it still reminded my friend of the “women belong in the kitchen” stereotype.  But, she recalls a heated discussion about how; “it’s different for you because you’re a man.  I’m a woman, I might not have to work later.”  Although it was totally unrelated, this incident reminded me that the women in my last internship talked about how their jobs is no more than a pass time, since after all, it’s too hard to survive in an office environment as a woman.  I also remembered that they told me that a woman who was most senior in the office quit the week before I started because her promotion was given to a very junior employee - he automatically became right hand to the president of the company.

Although the companies are totally unrelated, they shared the similarity that they are both Korean-base companies.  I have yet to intern at an American company, but as a millennial in America who’s grown up living in feminism empowering movements and changes, I’m sure that this type of gendered work system wouldn’t be common in the Western office.  But because I am an Asian American wary of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 am aware that there is a heavier favoritism of genders present in the Korean work place.  Actually, that is a huge understatement, because Korea was ranked 115 out of 149 on the global gender gap according to the World Economic Forum.  South Korea’s President Moon Jae In calls this gap “a shameful reality”.

We call this favoritism a glass ceiling in America, which is defined by the Merriam-Webster Dictionary as “an intangible barrier within a hierarchy that prevents women or minorities from obtaining upper-level positions”.  The glass ceiling has lately been thinning towards women in America, but it is stubbornly opaque in Korea. 

Of course, there is a cultural background that influences Korean offices.  Sons have always been favored over daughters, the eldest son is always given the largest inheritance, men are the breadwinners, women should stay home and cook, women are emotional, men are trustworthy - I’m sure that audiences from various countries are familiar with such traditional stereotypes.  And so, these values are easily transferred into the workplace without question.  So, when young Korean women - despite their high level of education and background - go into job interviews, they are interviewed less on their qualifications for the job but more on their qualifications as a woman.  This year, a college student had reported that she was interviewed with another male applicant, and only he was given standard and valid interview questions.  She, on the other hand, was asked about her romantic history (a rich history would imply that she was incapable to work, a lacking one would imply that she has a problem in her character), a prediction on her marital status, and even asked why she bothers working in the first place when it’s the “man’s job”.  These types of questions are not only inappropriate, but also illegal in the US, for infringing on one’s privacy and personal life. The few women who are in the workforce have to meet certain visual and fashion standards, since “girls are much prettier without glasses” (one female applicant was told by her interviewer) and have to withstand sexual prejudice, even harassment, in the workplace.  The horror is the fact that these are historic problems still in existent in one of the most modern and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South Korean women have been earning more bachelor degrees and scoring higher on test scores than men recently.  But apparently evidence is not enough: Some of South Korea’s most renowned banks have been accused for manipulating interview and test scores to favor those of male applicants, and have a set quota for a maximum number of female employees.  CEO of Korea’s state owned utility company had been arrested for bribery and violating equal opportunity laws - he ordered to drop female applicants among finalists, even the highest scorer, to allow more males into the office.
South Korea has developed rapidly over the past two decades, but its sociological developments seem to lag significantly behind.  South Korean women choose to work because they want to achieve their own personal goals.  Also, how does one not work in this day and age?  However, the annual birth rate in Korea has been plummeting because women aren’t given the opportunity to be a working mother, because of the lack of support system available.  Circumstantially, they have no choice but to be a mother or be employed which only fuels office sexism and “justifies” gender inequality.  Many businessmen would tell off young South Korean women looking for internships and work opportunities by saying something along the lines of “it’s your duty to the nation to raise our children and populate our nation, the work place isn’t for you.” This is how South Korean society became so backwards in a modern society.
I also feel that the problem lies beyond gender prejudice.  Most Asian companies’ attitude towards white-collar workers are extremely inflexible.  The US has many laws and rights that benefit working parents.  A federal law, the “Family Leave Act”, provides employees time-off up to 12 months to care for a newborn, new family member (via adoption), or sick family member with job security intact.  Most working parent(s) in America have easy access to day-care and after-school programs to balance one’s familial and professional values.  Furthermore, most US companies offer flexible work time and work-from-home policies, which is a tactic companies use to attract higher quality employees.  Here in the US, vacations and time-offs are earned rights, but employees in Asia can be hesitant to take time off in fear of appearing disloyal to the company.
It may be seen that there is no way through this glass ceiling for the coming generation of South Korean women.  Of course, it is a beautiful empowering idea for women to raise their children who will lead our future, but it’s another thing to turn it into a limitation, even an excuse to keep women out of business competition.  This glass ceiling that South Korean women face, especially as women from a developed influential country, is one that should be a thing of the past.  Women shouldn’t be given the option to choose their own independence over their children, but options to become the best working mothers.  Slowly surely, the glass ceiling can be shattered from the overall improvement and attention towards the care of employees, with an open mindedness in Korea’s social infrastructure to give the female workforce the recognition that it well deserves.

● 김나현(Christine Kim) 뉴욕통신원은 미국 보스턴에서 태어나 현재 뉴욕대학교에서 미디어, 컬쳐, 커뮤니케이션(MCC)를 공부하고 있다. NYU 학생회 부회장(2022년 졸업예정 학년), 'Sorority Kappa Kappa Gamma'의 학년 대표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마케팅, 언어, 음악/예술 등에도 관심이 많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