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요금 '월 4만원대' 출시 'LGU+', 신중한 'SKT·KT'...서로 다른 까닭은
상태바
5G요금 '월 4만원대' 출시 'LGU+', 신중한 'SKT·KT'...서로 다른 까닭은
  • 박대웅 기자
  • 승인 2019.07.29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유플러스, 청소년-노년층 대상 5G 저가 요금제 출시
SKT-KT, 월 4만원대 저가요금제 출시 외면
참여연대 "저가 요금제는 생색내기…보편요금제 도입해야"
LG유플러스가 이통 3사 중 처음으로 월 4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한 가운데 SKT와 KT는 다소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LG유플러스가 이통 3사 중 처음으로 월 4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한 가운데 SKT와 KT는 다소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국내 이동통신 3사가 '5G 요금제' 경쟁 2라운드에 돌입했다. 먼저 LG유플러스가 월 4만원대 요금제를 선보이며 치고 나갔다. 반면 SK텔레콤과 KT는 조심스런 행보를 보이고 있다. 

4만원대 요금제 출시 LGU+…SKT-KT는 소극적

29일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업계 최초로 4만원대 5G 요금제인 '5G 라이트 청소년'과 '5G 라이트 시니어'를 신설했다"며 "청소년과 시니어 전용 요금제를 마련해 5G 서비스의 이용 부담을 낮추고 앞으로도 요금제 및 서비스 경쟁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두 요금제 모두 월4만500원으로 선택약정 할인 적용 때 월 3만원대(3만3759원)로 쓸 수 있다. 문자와 음성이 기본 제공되며 데이터는 월 8GB(소진 후 1Mbps 속도제어)를 서비스한다. 5G 라이트 청소년은 만 4세 이상 18세 이하, 5G 라이트 시니어는 만 65세 이상 가입할 수 있다. 

현재 SK텔레콤과 KT의 5G 최저 요금제는 월 5만5000원(선택약정 할인 적용 시 4만1250원)인 '슬림'과 '5G 슬림'이 있다. 

SK텔레콤과 KT는 4만원대 5G 요금제 출시에 다소 신중한 입장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당장 4만원대와 같은 저가 요금제를 출시할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며 "5G가 청소년이나 시니어 등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5G가 확산 기로에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정 타깃군을 대상으로 요금제를 낸다는 게 강매 등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추후 확산과 서비스 안정화를 지켜보며 5G 요금제 확대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KT 관계자 역시 "저가 요금제 출시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상태"라면서 "갤럭시노트10이 다음 달 중순 출시하는 상황과 5G 이용자 확대 추이를 파악해 합리적인 가격의 요금제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29일 월 4만원대 5G 저가 요금제 출시에 대해 이통 3사의 생색내기라고 일갈하며 월 2만원대 보편요금제 도입을 촉구했다. 사진=연합뉴스
참여연대는 29일 월 4만원대 5G 저가 요금제 출시에 대해 이통 3사의 생색내기라고 일갈하며 월 2만원대 보편요금제 도입을 촉구했다. 사진=연합뉴스

저가 요금제 실효성 의문…시민단체 "생색내기"

4만원대 요금제가 출시됐지만 저가 5G 요금제의 실효성에 여전히 의문부호가 따라붙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5월 기준 5G 가입자 1인당 월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22.3GB로 LTE 사용자(9.5GB)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이통 3사의 5G 최저 요금제는 월 8~9GB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어 실제 이용자들의 평균 데이터 사용량에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다. 반면 8만원대 요금제부터는 사실상 완전 무제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어 대다수의 5G 이용자들은 고가의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아직까지 불안정한 5G 네트워크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감안할 때 저가 요금제의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시민단체 역시 이통 3사의 저가 요금제가 일종의 생색내기라고 비판하면서 보편요금제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29일 참여연대는 민생희망본부는 "LTE에서 3만3000원 요금제를 사용하던 청소년 이용자의 경우 5G로 옮겨가려면 선택지가 4만5000원 요금제 밖에 없다보니 사실상 요금인상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고가 5G 단말기 등을 감안할 때 비교적 경제취약 계층인 청소년과 고령층의 5G 유치는 전체적인 가게통신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5G의경우 고가단말기, 높은 공시지원금, 불법보조금 등의 영향으로 선택약정 가입이 사실상 어려운 구조임을 감안할 때 월 4만원대 요금제는 가격에 대한 착오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부적절한 소비자 유인에 해당한다"면서 "과기정통부는 5G 가입자 중 선택약정 할인 가입자가 얼마나 되는지 투명하게 공개해 소비자들이 5G 요금에 대한 착오를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여연대는 "5G 상용화 이후 부족한 기지국 문제, 콘텐츠 부족, 불완전판매, 불법보조금 문제 등 다양한 논란이 있었고, 일부 시정 노력이 있지만 고가요금제로 인한 가계통신비 부담과 담합 수준의 요금제 구조에 대해선 별다른 개선 없이 140만명이 넘는 5G 가입자들이 고가의 요금을 부담하면서도 여전히 제대로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정부와 국회는 2만원대 보편요금제를 도입해 통신 취약계층의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는 것은 물론 이통사들이 저가요금제를 통한 서비스 경쟁에 나설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