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는 기회'...28년 만에 역성장 '중국 車', 한국에 기회인 이유
상태바
'위기는 기회'...28년 만에 역성장 '중국 車', 한국에 기회인 이유
  • 박대웅 기자
  • 승인 2019.04.22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의 전기차 등 신에너자 자동차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적극적 진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중국의 전기차 등 신에너자 자동차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적극적 진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중국 자동차시장이 지난해 1990년 이후 28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한데 이어 올해도 성장 둔화 전망이 앞다퉈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 중국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대비 2.8% 감소한 2808만 대로 집계됐다. 올해 1월과 2월 판매량 역시 각각 전년 동기대비 15.8%와 13.8% 줄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세는 표면적으로 둔화됐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산업구조 영향을 받았다는 평가도 공존한다. 자동차 산업 전반은 부진을 면치 못했으나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은 큰 폭으로 확대됐고, 기술이나 정책적 측면도 눈에 띄게 향상됐기 때문이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자동차 산업 대외개방 확대 정책이 우리 기업에 '제2의 차이나 드림'이 될 수있다는 기대에 차있다.  

◆중국 자동차 산업, 침체 빠진 이유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이하 협회)는 지난해 12월, 28년 만의 역성장 사실을 공시하면서 올해 자동차 판매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2800만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협회는 중국 자동차 산업이 침체에 빠진 주요 원인으로 ▲거시경제 성장 둔화 ▲신에너지차 보조금 축소 ▲부동산 시장 조정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등을 꼽았다.

반면 신에너지 자동차의 생산 및 판매규모는 100만대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60%대의 성장을 기록했다. 협회는 지난해 1~11월 중국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105만35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63.63% 증가했고, 판매량은 102만9800대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68% 늘었다고 설명했다. 전통적인 내연기관 차량과 신에너지차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린다. 

◆산업 고도화 정책 봇물

신에너지, 스마트 기술 등으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은 일대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 역시 이런 시대적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자동차 산업 업그레이드 정책을 다수 발표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공업정보화부 등 관련 부처는 스마트자동차 혁신발전 전략, 자동차기업 및 제품 진입관리 방법, 자동차산업 투자 관리규정 등 중요 정책을 발표하며 전략적으로 산업 변혁기에 대응하고 있다.

이 정책들은 모두 미래 신에너지 및 스마트 자동차 산업의 전체적 발전을 위한 토대를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베이징 현대자동차 제1 공장에 생산된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베이징 현대자동차 제1 공장에 생산된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자동차 산업 대외 개방 속도내는 중국

중국은 올해 외자 지분 비율 제한 정책을 폐지하고 관세 인하 등 대외개방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4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그동안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유지해왔던 외자기업 지분 비율 제한을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없애기로 했다.

지난해 제한이 없어진 전용차와 신에너지자동차 부문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상용차의 외자 지분 제한을 폐지하고 2022년에는 승용차의 외자 지분 비율 제한 및 합자기업 2개사 제한을 동시에 폐지할 예정이다.

테슬라는 지난해 상하이에 첫 해외 공장 설립 계획을 밝혔다. 상하이 공장은 연 50만대에 달하는 생산 능력을 비롯해 연구개발, 제조, 판매 기능이 집적된 공간으로 구성할 전망이다. 

관세 역시 내린다. 지난해 5월 재정부는 2006년 이후 12년 만에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수입관세를 대폭 인하했다.

이 조치로 중국 자동차 관련 수입품목(모두 275개) 중 79.3%에 해당하는 218개 품목의 관세가 내렸고, 지난해 7월1일부터는 조정 수입세율이 적용됐다.

완성차의 경우 기존 세율 25%였던 135개 품목과 20%였던 4개 품목의 관세가 15%로 하향 조정됐다. 부품 및 부분품의 경우도 기존 세율 8%, 10%, 5%, 20%, 25%였던 79개 품목의 관세가 6%로 일괄 조정됐다.

또한 중국 정부는 올해 1월1일부터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용 전동제어장치관련 관세를 기존 6%에서 5%로, 차량용 전자제어 케이블 관세를 기존 10%에서 5%로, 총 중량 31톤 차량 전용 합판 관세는 기존 15%에서 10%로 인하했다. 

◆신에너지차 보조금 정책 업그레이드

재정부, 공업정보화부, 과학기술부, 발전개혁위원회 등 4개 부처는 지난해 신에너지자동차 재정보조금 정책을 발표했다. 기존 정책 대비 기업의 기술 및 제품 발전에 주안점을 뒀다.

기존 신에너지 승용차 보조금 정책은 단순히 항속거리 기준으로 보조금을 책정했다. 하지만 새로운 정책은 항속거리 뿐만 아니라 배터리 시스템의 에너지 밀도와 차량에너지 소모 등을 함께 고려한다. 

때문에 항속거리가 같은 모델이라도 배터리 기술에 따라 보조금 액수에 차등이 생긴다. 또 항속거리 150km 이하인 순전기 승용차의 재정 보조금을 폐지하고 300km 이하 차량의 재정 보조금을 삭감하는 한편 300km 이상 차량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증액했다.

중국 정부는 이런 정책으로 신에너지차 기업과 배터리기업의 기술 수준을 높이고 전체 신에너지차 제품의 항속거리 연장을 도모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전기차 등 보조금 정책을 대폭 수정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에 기회가 열렸다. 사진=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전기차 등 보조금 정책을 대폭 수정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에 기회가 열렸다. 사진=연합뉴스

◆"배터리·부품 등 韓 비교 우위분야에 적극 진출해야"

중국 정부의 신에너자 자동차로 전략이 한국 에 기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한국이 우위에 있는 자동차 부품, 배터리 등 분야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성애 코트라 베이징 무역관은 19일 보고서에서 "중국은 거대 IT기업 중심으로 미래차 분야에 다각도로 투자하고 있다"면서 "현지 업체 관계자들은 우리 기업의 완성차 및 부품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중국보다 우위에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신기술에 기반한 부품 도입과 활용을 내세워 중국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변화된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국내 배터리 업체에게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변화는 로컬 배터리 업체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중국 배터리업체들이 한국과 일본 배터리 업체의 진입을 막기 어려울 것이며 중국 자동차 기업은 배터리 수급을 놓고 다양한 검토를 이어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동안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보조금을 사실상 독점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중국 정부는 한국 등 해외 배터리 업체의 전기차 배터리에는 보조금을 거의 주지 않았다. 

장 연구원은 "2017년 135개에 이르던 중국 배터리 업체는 앞으로 20개 안팎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면서 "전기차 보조금이 완전히 소멸되는 2020년부터 기술이 앞선 한국 배터리업체들의 중국 전기차 시장 진출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전기차 배터리를 포함한 2차 전지산업 전반에 긍정적 신호"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