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나…北 지뢰 도발에 좌파 고개 들어
상태바
역시나…北 지뢰 도발에 좌파 고개 들어
  • 정리=김인영
  • 승인 2015.08.16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남 갈등 조장해 도발행위 희석화 의도

북한이 비무장지대(DMZ) 지뢰도발사건과 무관하다고 주장한 것을 계기로 SNS에서 이번 사건에 관한 괴담들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번 사건이 북한군 목함지뢰가 아니라 우리군 지뢰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부터 우리 군의 '자작극'이라는 주장까지 근거 없는 '설'(說)이 난무하고 있다. 북한의 지뢰 무관 주장이 천안함 피폭 사건때처럼 남한 사회의 갈등을 조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SNS 통해 北주장 동조 발언 제기돼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 게시판에 16일 올라온 익명의 글은 "북한의 주장이 국방부의 해명보다 몇 배는 합리적으로 보인다"며 이번 사건에 관한 국방부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 글은 "북한은 오락가락하는 국방부의 해명에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을 다 지적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글은 "지뢰사건이 북한 소행이라는 증거가 있나"라고 반문하고 "미국 놈들이 '북한 소행으로 몰아가라'고 하고 그에 충실히 따르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합동조사단의 이번 사건 조사 결과가 미국의 각본에 따른 것이라는 음모론을 제기한 것이다. 

익명에 숨은 이 같은 괴담은 합동조사단이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지난 10일 직후만 해도 별로 없었으나 북한이 15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로 남측 조사 결과를 반박한 이후 잇달아 올라왔다. 

특히 북한이 담화에서 M-14 대인지뢰를 언급한 것을 계기로 이번 사건이 북한의 목함지뢰가 아니라 우리 군의 M-14 지뢰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돌고 있다.

1980년대 최전방 수색대에서 군 복무를 했다는 익명의 네티즌은 이번 사건이 "여름철 폭우 때마다 발생하던 전방 지역의 지뢰 휩쓸림 현상에 의한 통상적인 사고"라며 M-14 지뢰가 터졌을 가능성을 높게 봤다.

그는 합동조사단이 사고 현장인 DMZ 추진철책 남쪽에서는 우리 군의 지뢰제거 작업이 끝나 아군의 지뢰가 유실됐을 가능성이 없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자신의 군 복무 경험을 근거로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에서 이번 사건을 남측의 '모략극'으로 몰아붙인 것을 계기로 SNS에서는 이번 사건이 '자작극'이라는 음모론까지 나온다.

익명의 네티즌은 이번 사건으로 박근혜 정부가 국정원 해킹 의혹으로 인한 정치적 위기를 모면했다며 "이번 사태로 누가 더 이득을 봤는지 생각하면 (누구의 소행인지) 답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북한 국방위원회 정책국 담화 발표 이후 이 같은 주장들이 잇달아 나온 점을 고려하면 담화가 괴담을 부추기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사실과 조리에 맞게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근거 없는 음모론을 유포하는 것은 북한이 의도하는 '남남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 만큼 자제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 지난 4일 비무장지대(DMZ)에서 우리 군 수색대원 2명에게 중상을 입힌 지뢰폭발사고는 군사분계선(MDL)을 몰래 넘어온 북한군이 파묻은 목함지뢰가 터진 것으로 조사됐다. 합동참모본부가 이날 공개한 사고발생 현장. /연합뉴스 < 합참 제공>>
14일 북한 국방위, 남한의 자작극 비난

북한 국방위원회는 지난 14일 정책국 담화를 통해 이번 사건이 북한이 의도적인 지뢰 매설해서 발생한 것이라는 남한 발표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현 남북관계 긴장상황의 책임을 전가하기 위한 남측의 '모략극'으로 몰아갔다. 사건이 발생한 지 10일 만에, 우리 국방부가 도발 원인으로 북한을 지목한 지 나흘만에 나온 북한의 반응으로, 과거 사례와 비교해보면 한참 늦은 셈이다.

실제로 지난 2010년 천안함 사건 당시 북한 소행이라고 남한 정부가 공식적으로 확인한 지 30분 만에 북한 국방위원회가 대변인 성명을 통해 즉각 부인하고 나섰다. 

2009년 북한 경비정이 대청도 해상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했다가 퇴각한 대청해전 때도 북한군 최고사령부는 사건 발생 4시간50여 분만에 남측의 도발 행위로 규정하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북한 국방위는 나흘만에 대응에 나선 배경과 관련, "현지에 있는 우리 군인들도 당시 폭발장면을 목격했다"며 "남측 지역에서 벌어진 일이어서 별로 크게 관심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얼마전 140여 발의 지뢰가 터지는 등 해당 지역에서 화재나 폭우로 지뢰 폭발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사건 발생 당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북 도발이라고 괴뢰 군부가 떠들고 괴뢰합동참모본부가 줴쳐대고 청와대가 악청을 돋구고 나중에는 유엔까지 합세하여 우리를 걸고드는 조건에서 그대로 침묵하고 있을 수가 없게 되였다"고 해명했다.

자신들의 소행도 아닌데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가 북한의 정전협정 위반을 규탄하는 등 국제사회의 여론이 불리하게 돌아가는 것을 더이상 방치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의 대응이 늦은 감이 있는 것은 남측과 국제사회의 여론 추이를 지켜보면서 대응 논리를 만들고 김정은 제1위원장의 판단과 재가를 기다렸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지뢰 도발을 전면 부인하고 나선 것은 어느 정도 예정됐던 수순이다.

더이상 침묵할 경우 남한의 발표가 사실로 굳어지고 특히 인정했을 경우 비열한 군사 도발로 인해 국제사회의 고립과 제재가 더욱 심화되는 등 대외적 손실이 크다.

 

▲ 국방부에서 군 관계자가 북한이 비무장지대(DMZ)에 매설한 살상용 목함지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北 ,천안함·사이버해킹·무인기 시건 때도 전면부인

북한은 과거에도 천안함 피격 사건, 사이버 해킹 등 북한의 소행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나오지 않으면 무조건 부인으로 일관해 왔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시인했을 경우 북한은 상당한 부담감을 안을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라면서 "우리는 하지 않았면서 남쪽의 비난을 빗겨가려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천안함 피격 사건이나 지난해 무인기 사건 때도 북한이 책임을 전면 부인한 바 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