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과 인간의 동거 일지...<우리집 테라스에 펭귄이 산다> 리뷰
상태바
펭귄과 인간의 동거 일지...<우리집 테라스에 펭귄이 산다> 리뷰
  • 강대호 북칼럼니스트
  • 승인 2018.11.20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유일한 존재, 펭귄 후안의 이야기
▲ 우리집 테라스에 펭귄이 산다 / 21세기 북스

펭귄은 계단을 오를 때 한 계단씩 폴짝폴짝 뛰어오른다고 한다. 그렇다면 펭귄이 계단을 내려갈 때 쓰는 방법은?

⓵ 한 계단씩 통통 내려온다. ⓶ 엉덩이 썰매로 미끄러지듯 내려온다. ⓷ 스켈레톤 선수처럼 앞으로 엎드려서 미끄러지며 내려온다.

영화 <파퍼 씨네 펭귄>을 본 사람이라면 3번이라고 답할 것이다. 나는 영화를 재미있게 봤으면서도 펭귄들이 계단을 엎드려서 썰매 타듯 내려오는 장면에선 만화적 상상이 지나친 것 아니냐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어보니 펭귄은 계단에서 스켈레톤 선수처럼 머리를 앞으로 향하고 엎드려서 미끄러지며 내려오는 게 사실이었다.

‘톰 미첼’의 에세이집 <우리집 테라스에 펭귄이 산다>에 나오는 내용이다. 제목에 나왔듯이 펭귄이 그의 집 테라스에 살았다니까 직접 본 사실일 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저자는 어떤 사람이기에 펭귄을 데리고 살았을까?

톰 미첼은 영국에서 태어난 교사이자 화가로 20대에 아르헨티나의 기숙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 당시 사고와 우연 그리고 인연이 겹쳐져 자그마한 ‘마젤란 펭귄’과 동거하게 된다. 이 책은 그렇게 펭귄 ‘후안’과 함께 산 이야기를 담담하게 담았다.

 

펭귄을 빌어 생태를 이야기하다

 

저자는 방학을 맞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가까운 우루과이의 한 해변으로 여행을 갔다. 어느 날 해변에서 그는 “까맣게 밀려온 펭귄 사체 더미”를 만난다. 어느 배에선가 흘러나온 “기름을 뒤집어쓰고 죽어간 펭귄들”이었다.

그런데 “살아 있던 한 마리의 펭귄을 숙소로 데려와 오염된 깃털을 세척” 해 준다. 처음에는 “저항하던 펭귄이 신뢰의 눈빛을” 보이자 저자는 “펭귄에게 ‘후안’이라는 이름까지” 붙여준다. 우여곡절 끝에 아르헨티나로 데려오고 저자가 머물던 “기숙사의 ‘테라스’에서 함께 살았다”는 줄거리다.

그러나 저자는 처음부터 펭귄을 데리고 살 생각은 아니었다. 원래는 “기름을 뒤집어쓴 펭귄을 씻겨주곤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려” 했다. 그러나 “펭귄은 짧은 다리로 기를 쓰고 쫓아”왔던 것. 그 모습에서 저자는 후안을 구조한 것이 “함께 살 운명”이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렇지만 야생 동물은 “야생성을 잃기 전에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게” 순리. 처음에는 “동물원에 보내려 했으나 열악한 환경” 때문에 눈을 바다로 돌려 “야생 펭귄을 관찰”한다. 무리를 지어 나름의 규칙을 정해 사는 야생의 펭귄 무리를 보며 저자는 “테라스에서 사람과 사는 후안에게 미안해”한다.

결론은 “펭귄은 집단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살아야 한다는” 거. 구조 당시 저자와 헤어지기 싫어한 것은 “함께 살던 무리가 다 죽고 아무도 보이지 않는 바다로 들어가기는 무서웠던” 것. 차라리 자기에게 “친절을 베푸는 인간 옆에 있는 게 안전하다는 것을 본능으로 알았던 것은 아니었을까”라고 추측을 한다. 작가는 후안을 야생으로 돌려보낼 그 날을 차곡차곡 준비한다.

그는 또 펭귄과의 에피소드 중간중간에 인간에 대한 비판을 잊지 않는다. 책의 배경인 “70년대 남미의 바다에서 벌어진 인간의 무례”를, 아무런 여과 없이 “기름과 쓰레기를 푸른 바다에 버린” 관행을, 그래서 “사라져 간 많은 바다생물에 대한 미안함에 인간을 대신해서 사과”한다.

 

펭귄에게 위로받은 사람들의 이야기

 

펭귄 후안은 작가의 숙소인 학교 기숙사의 테라스에서 살게 된다. 저자는 어쩌면 교칙을 어길 수도 있는 일이었기에 주변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협조를 구한다. “청소 책임자 등 기숙사 직원들, 동료 교사들과 학생들은 물론 교장”까지.

그들 모두 후안이 가진 매력에 빠져 버린다. 그들은 후안이 사는 “테라스에 고민 상담소인 양 찾아와서 자기 순서”를 기다리거나 “럭비팀의 승리를 돕는 마스코트”로 추대한다. 특히 “아웃사이더였던 어떤 학생은 후안과의 만남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한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저자는 담백하게 써나간다. 동화나 영화의 소재로 쓰일법한 순수한 이야기가 현실에서 이뤄졌다니? 남아있는 사진 한 장 없지만, 그대로 믿어졌다. 그만큼 작가의 글은 진솔하게 다가온다. 그는 70년대 당시 무대책이었던 해양 환경 정책에 분노를 보인다. 그리고 페론 정권과 군부 정권의 어려웠던 시절을 살았던 아르헨티나인들에 대한 따뜻한 마음도 엿볼 수 있다. 특히 약자를 위하는 마음을.

 

“인간은 상처를 남기고 그것을 보려 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지구상의 바다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인플레이션 때문에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중산층이 모기지론을 얻어 산 집들의 대출금을

수백만 명의 마리아(가난한 사람을 은유)가 갚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 삶의 방식에 정작 그 대가를 치르고 있는 것은

펭귄들과 대자연의 약자들이다.” (327쪽)

 

그래서 자연에 벌인 인간의 만행에 분노하거나 학생이나 동료 교사는 물론 기숙사 청소부나 세탁부에게도 진심으로 대하는 작가의 인간적인 모습에 감동이 왔나 보다 했다. 그들을 하나로 묶었던 펭귄 후안의 미래를 생각하며 아끼는 모습에서도. 그런데.

 

펭귄과 인간의 관계만을 이야기하는 건 아니었다

 

기름으로 뒤범벅된 바다에서 살아 나온 펭귄 후안은 사람들과 함께 살며 그들에게 용기와 위로를 주었다. 그런 의미에서 ‘후안’이 사람들에게 남긴 유산은 희망이었다. 그런데 뒤로 갈수록 자꾸 커다란 메시지가 다가왔다. 희망은 모든 이들, 특히 우리 후손들에게도 전해져야 한다고.

작가는 “사람들이 그들의 편의를 위해서 살아가는 터전을 함부로 대하며” 본의 아니게 혹은 알면서도 “다른 종들의 삶을 위협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인간들이 짧은 시간에 많은 변화”를 이루긴 하지만 “망가져 가는 생태계가 만약 파산이라도 한다면 그걸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인간에게는 부족”하다는 경고를 한다. 그리고 “당신은 어떻게 하겠느냐고?” 질문을 던진다.

이렇듯 메시지는 무겁게 다가오지만, 생긴 모양만으로도 귀여운 펭귄이 등장하는 만큼 재미있는 설정도 있다. 저자가 펭귄에게 이름을 붙여주자 대화를 주고받게 된다. 그런 장면들이 전혀 유치하지 않았다. 내게도 이름을 붙여주고 때론 친구로 혹은 가족으로 의인화하며 함께 산 나의 ‘후안’이 있었으니까. 아마도 이 책을 읽으며 자신과 함께 살았던 반려동물을 떠올리는 독자들이 많았으리라.

작가와 후안이 서로에게 좋은 친구이고 가족이었듯이 그 아이는 내게 좋은 친구이고 가족이었다. 그런데 나는 그 아이에게 어떤 존재였을까? 떠올려보지만 그 아이는 지금 없다. 그래서 없어지기 전에 떠올려야 할 게 무엇이 남았나 생각하게 한 책이다. 눈에 보이지 않아도 소중한 그 무엇들은 우리의 관심을 기다리고 있다.

▲ What I learned from a remarkable bird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